●방랑시인 김삿갓 02-(10)
* 남한산성 치욕(병자호란)
그로부터 두어 달 ,김삿갓이 이천 땅을 떠돌아 다니다가 광주 땅으로 들어섰을 때는
어느덧 겨울이 가고 봄이 왔다.
사람이 사는 세상사는 무던히 변덕스럽지만 ,
계절의 변화는 매년 올곳이 돌아온다.
어제 까지만 하여도 추위를 느꼈건만 ,
입춘이 지나고 보니 조금만 멀리 걸어도 등골에 땀이 날 지경이었다.
봄볓에 한결 넉넉해진 김삿갓은
문득 시 한수를 읊조려 본다.
<해마다 해는 가고 가고 끝없이 가고
<날은 날이 날마다 끝없이 오고 있네
<해는 가고 날은 와 오감은 끝이 없는데
<우주의 모든 일이 그 속에서 이루어지네.
年年年去 無窮去 <연연연거 무궁거
日日日來 不晝來 <일일일내 불주래
年去日來 來叉去 <연거일내 내차거
天時人事 此中催 <천시인사 차중최
사람의 일생이란 하루 하루가 쌓이고 쌓여 해가 바뀌고 ,
그런 해가 쌓이고 쌓여 인생이 모두 지나간다.
어느덧 돌아 보면 아무것도 뜻대로 된 것 없는데,
무정한 세월 탓 만을 하는 것은 아닌지 ?
세상사 모든 일이 정해진 순서대로 흘러 가건만 ..
사람이 제 혼자 바쁘게 돌아간다.
만사개유정 부생공자망
(萬事皆有定 浮生空自忙)
김삿갓은 모처럼의 봄볓을 맘껏 받으며 무심히 길을 걸었다.
그러다 보니 남한강이 가까워진것 같은데 ,
삼전도에 이르러 문득 눈에 띄는 비석이 있었으니,
비문에 새겨진 글은 "大淸皇帝 功德碑"였다.
김삿갓은 그 비석을 보는 순간 ,
병자호란의 치욕이 머리에 떠올라, 자신도 모르게 진땀이 솟아났다.
이 비석은 병자년 호란때 ,
청태종 누루하치가 남한산성에 은거하던 인조 대왕에게 항복을 받은 후,
우리로 하여금 강제로 세우게 했던 치욕의 비석이었기 때문이다.
김삿갓은 남한 산성 위에 올라 , 병자호란의 치욕의 역사를 되짚어 보았다.
1627년 滿州의 여진족 추장인 누루하치가 後金이라는 나라를 새로 세운후
우리 조선에 국교 수립을 강요해 왔다.
그러나 당시 조선은 전통적으로 명나라와의 국교가 두터웠던 관계로
누루하치의 요구를 들어줄 수는 없었다.
명나라는 불과 35년전 (1592년) , 조선 땅에서 벌어진 왜적의 침입(임진왜란)을
함께 막아낸 朝明연합의 은혜를 베푼 나라가 아니었던가 ?
조선의 국교 수립 불가에 앙심을 품어오던 누루하치가 인조 14년 (1636년) ,
저들의 국호를 청으로 고침과 동시에 십만 대군을 이끌고 조선을 침략해왔다.
그해가 마침 丙子年 이었고 ,
우리는 이후로 이 전쟁을 "병자호란"이라 부르게 되었다.
청태종 누루하치가 십만 대군을 몸소 이끌고 심양(奉天)을 떠난 것은
그해 12월 12일 이었고 그로부터 여드레 후에는 압록강을 건너오고 있었다.
당시 義州 부윤 임경업 장군은 백마 산성을 굳게 잠그고
적의 공격에 완강하게 저항하고 있었다.
그러자 청군은 일부의 병력으로 백마 산성의 공격을 계속하며
주력 부대는 한양으로 한양으로 진격을 계속 하였다.
파죽지세로 진군해 오는 청군으로 위협을 느낀 조정에서는 척화론과 화친론이
분분한 가운데 전쟁에서의 대책과 지원을 세우지도 못하고
급기야 임금이 몸을 피하는 천도를 계획하게 되었다.
한양 인근에 강화도는 조수의 간만차가 크고 , 내륙과 물살이 매우 빠른
큰 고랑으로 이어져 있는데다 큰 농토와 풍부한 水量을 품은 곳이다.
따라서 위급한 국가적 재난을 맞았을때 제일 먼저 천도의 장소로 꼽는 곳이다.
이러한 사실을 알고있는 청군은 한양을 공격하기에 앞서,
인조 대왕의 퇴로를 차단하기 위해 강화도를 먼저 점령하여 버렸다.
결국 , 한양의 방어가 무너지자 임금은 장안의 백성을 고스란히 버려둔 채 ,
그헤 섣달 하순에 엄동 설한을 무릅쓰고 대신과 군사 만여 명만을 거느리고
한강을 건너 남한 산성으로 피신하였다.
그러나 적은 이 사실을 알아내고 남한산성을 이중삼중으로 에워싸고
외부와의 연락을 완전히 차단함과 동시에 사방으로 총공격을 퍼부었다.
이때 남한 산성에는 많지 않은 군량과 적은 食水 밖에 없었으니 ,
불과 두 달을 버티지 못하고 인조 대왕은 항복 할수 밖에 없었다.
그리하여 전쟁을 시작한지 꼬박 1년 만인 정축년 1월 30일에
인조 대왕은 특사를 보내 화친을 제의하였다.
말이 화친 이었지 , 실질적으로는 항복을 하겠다는 뜻이었다.
이에 승전의 기분이 도도한 청태종이 아래와 같은 무리한 요구를 해왔다.
첫째 , 항복을 하는데 앞서 남한 산성 남문 밖 삼전도에 受降壇을 쌓고 ,
청태종이 항복을 받을 때 올라 앉을 옥좌를 마련할 것.
둘째, 청태종이 수항단에 앉은후 ,인조는 왕세자와 함께 성안에서 수항단까지
홀몸으로 걸어나와 땅에 엎드려 세번 큰 절을 올릴 것.
세째 , 두 나라는 그 자리에서 강화 조약을 체결하되, 조선국은 청나라가
요구하는 모든 조항을 무조건 받아 들일 것.
네째, 청태종에게 항복을 올린 역사적 장소를 영원히 기리기 위해,
수항단을 쌓았던 삼전도에 "대청황제 공덕비"를 새로 세울 것.
그러면서 저들의 요구가 단 한가지라도 받아들이지 않으면
남한 산성을 사흘 안에 잿더미로 만들겠다는 엄포도 아울러 밝혔다.
궁지에 몰린 인조 대왕은 마침내 청태종의 모든 요구를 수용하고
왕세자와 함께 수항단으로 걸어나와 청태종에게 땅에 엎드려 항복의 절을 올렸으니 ,
그것은 5 천년 역사 이래로 처음 ,
이 민족과의 전쟁에서 처음 겪은 치욕적인 사건이었던 것이다.
이때 강화조약의 내용중에서 중요한 몇가지는 ,
1. 조선의 국왕은 청나라에 대하여 臣의 禮를 행할 것.
2. 조선은 명나라와 국교를 단절함은 물론이고 이제부터는
청나라 年號를 쓸 것.
3. 조선은 왕세자와 次子를 청나라에 인질로 보낼 것, 등 이었다.
이러한 강화 조약과는 별개로 더욱 막심한 피해가 있었으니,
그것은 백성들의 피해였다.
오랑캐 군사들이 전국을 휩쓸고 돌아 다닐 때 ,
백성들의 재산을 닥치는 대로 약탈해 갔을 뿐 아니라,
무고한 백성 5만 여명을 포로로 납치해 갔다.
그렇게 납치해 간 사람중 남자는 從으로 부려 먹었고 ,
젊은 여자는 노리개로 삼았다.
전쟁이 모두 끝난 후 ,납치해 간 우리 백성을 돌려 달라는 요구에
청나라 되놈들은 신분의 차별을 두어 일반 백성은 100냥에서
부녀자와 지위가 높은 사람들은 1500냥 까지의 보상금을 요구했다.
5만 여명이나 되는 포로의 보상금은 어마어마한 금액이었다.
가족을 데려오기 위하여 어떤 사람은 가진것 모두를 내다 팔았고,
조선의 경기는 전쟁의 피해와 함께 , 형편없이 피폐해졌다.
그러나 전쟁의 여파는 이것만이 아니었다.
병자호란으로 인해 ,
이전에는 없었던 "환향녀"(還鄕女) 라는 새로운 말까지 생겨나게 되었다.
전쟁에서 포로로 잡혀간 사람중에 환속금을 지불하고 돌아온 여자들을
특별히 환향녀로 불렀다.
환향녀란 ,
글자 그대로 청나라 군사에게 끌려갔다가 고향에 돌아온 여자라는 뜻이다.
그러나 청나라 군사에게 끌려갔던 여자들이 깨끗한 몸으로 돌아 왔을 리가 만무하다.
그러니 환향녀라는 말 가운데는 정조를 되놈에게 잃은 여자라는 뜻이
은연중에 내포되어 있었다.
이후로 세월이 지나면서 환향녀는 잊혀져 갔지만 , 말의 씨앗은 계속남아 ,
오늘날에 외방 남자와 정을 통한 여자를 화냥년이라고 부르는 어원은
병자호란 이후, 환속금을 내고 풀려 돌아온 환향녀에서 비롯된 말인 것이다.
불가피 하다면 전쟁을 해야한다.
그러나 막상 ,전쟁이 벌어지면 단시간내에
모든 수단과 방법을 결집하여 승리하여야 한다.
아니 , 그것 보다는 지나온 역사의 교훈을 잊지말고
만전의 사전 태세를 갖추어야한다.
"有備無患"
우리 조선이 ,1592년 임진왜란과 1598년에 벌어진 정유재란의 원인을 살펴
방비를 갖추었다면 불과 38년후 벌어진 (1636년) 병자년 호란때 ,
밀려오는 되놈들을 격퇴 시킬수 있었을 것이다.
안타까운 가슴을 안고 , 치욕의 현장인 남한 산성을 내려오는
김삿갓의 발걸음은 모래자루를 매단 듯, 한량없이 무거웠다.
~~계속 2-11회로~~~
<sns에서>
'방랑시인 김삿갓'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교다리밑에서 하룻밤을 보낸 김삿갓 (0) | 2020.05.13 |
---|---|
남한산성에서 한양을 찾아간 김삿갓 (0) | 2020.05.13 |
이천에서 장수하는 노인을 만난 김삿갓 (0) | 2020.05.13 |
원주에서 여주로 간 김삿갓 (0) | 2020.05.12 |
막내딸이 소박맞은 이야기를 들은 김삿갓 (0) | 2020.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