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링빙야화

소요유(逍遙遊)

오토산 2021. 9. 16. 09:18

소요유(逍遙遊)


장자 사상의 중요한 특징은 인생을 바쁘게 살지 말라는 것이다.

하늘이 내려준 하루하루의 삶을 그 자체로서 중히 여기고 감사하며 고마운 마음으로 살아야지,

하루하루를 마치 무슨 목적을 완수하기 위한 수단인 것처럼

기계적 소모적으로 대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장자는 우리에게 인생에 있어서

‘일’을 권하는 사람이 아니라 ‘

소풍’을 권한 사람이다.

 

우리는

‘일’하러 세상에 온 것도 아니고,

‘성공’하려고 온 것도 아니다.

그런 것은 다 부차적이고 수단적인 것이다.

우리 모두는 과거 생에 무엇을 잘했는지 모르지만,

하늘로부터 삶을 ‘선물’로 받은 것이다.

 

이 우주에는 아직 삶을 선물로 받지 못한 억조창생의

‘대기조’들이 우주의 커다란 다락방에 순번을 기다리고 있다.

그러나 최소한 당신과 나는 이 삶을 하늘로부터 선물 받아

이렇게 지금 지구에 와 있지 않은가!
 
삶을 수단시하지 마라.

삶 자체가 목적임을 알라. 이 삶이라는 여행은 무슨 목적지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가 목적인 것이다.

그러니 그대여 이 여행 자체를 즐겨라.

장자가 말한

‘소요유(逍遙遊)’란 바로 이런 의미이다.

 

인생이란 소풍이다.

무슨 목적이 있어서 우리가 세상에 온 것이 아니다.

하느님은 우리에게 소풍을 보내면서 단지 열흘짜리 휴가증을 끊어 주신 건데,

하느님이 사는 중심우주와 우리가 사는 외곽우주가 서로 흐르는 시간대가 달라

그것이 백 년이 된 것뿐이다.
 
장자가 말한

‘소요유(逍遙遊)’에는 글자 어디를 뜯어봐도 바쁘거나 조급한 흔적이 눈곱만큼도 없다

‘소(逍)’자는 소풍간다는 뜻이고,

‘요(遙)’자는 멀리간다는 뜻이며,

유(遊)자는 노닌다는 뜻이다.

즉,

‘소요유’는 ‘멀리 소풍가서 노는 이야기이다.

‘소요유(逍遙遊)’는 묘하게도 글자 세 개가 모두 책받침 변(辶으)로 되어 있다.

책받침 변(辶)은 원래 ‘착(辵)’에서 온 글자인데,

‘착’이란 그 뜻이 ‘쉬엄쉬엄 갈 착(辵)’이다.

그러니

‘소요유’를 제대로 하려면 내리 세 번을 쉬어야 한다.

갈 때 쉬고, 올 때 쉬고, 또 중간에 틈나는 대로 쉬고!

참 기막힌 이름이 아닐 수 없다.

 

<sns에서>
 

'시링빙야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거진천 사거용인: 生居鎭川 死居龍仁」  (0) 2021.10.28
장성기생 노화 (蘆花)  (0) 2021.09.17
黃石公 이야기  (0) 2021.09.15
그믐이 되얏는가.  (0) 2021.09.11
귀신이 가르쳐 준 시  (0) 2021.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