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삿갓 69 -
[선죽교 참배와 앉힘 술집(하)]
망국의 설움이 가슴을 파고드는 듯한 처량한 시였다.
김삿갓은 저물어 가는 선죽교 위에서 선비가 읊는 시를 듣고
문득 선비에게 말했다.
"많은 이들이 이곳 선죽교를 다녀 갔을 터인데
알려진 시가 고작 한 편밖에 없다니 참 안타까운 일이군요.
그렇다면 제가 즉흥시를 한 수 읊어 볼까요 ? "
선비는 그 말을 듣고 크게 기뻐하며 말한다.
"만약 한 수 읊어 주신다면,
저는 두고 두고 마음속에 아로새겨 두겠습니다."
김삿갓은 잠시 시상에 잠겨 있다가
시를 한 수 읊었다.
고국강산 입마수(故國江山立馬愁)
옛 강산에 말 멈추니 시름이 새로운데
반천왕업 일공구(半千王業一空邱)
반천 년 왕업이 빈터만 남았구나
연생폐장 한아석(煙生廢墻寒鴉夕)
연기 어린 담장가에 까마귀 슬피 울고
엽락황대 백안추(葉落荒臺白雁秋)
낙엽지는 폐허에는 기러기만 날아가네.
석구년심 난전설(石狗年深 難轉舌)
돌로 된 짐승은 오래되어 말이 없고
동대치멸 단수두(銅臺치滅 但垂頭)
구릿대는 쓰러져 머리를 숙였구나
주관별유 상심처(周觀別有 傷心處)
둘러보아 유난히 가슴 아픈 곳은
선죽교천 연불유(善竹橋川 咽不流)
선죽교 개울물이 흐름없이 흐느끼네.
선비는 김삿갓의 시를 듣고 나더니
김삿갓의 두 손을 덥석 잡으며 감격 어린 어조로 말을 한다.
"선생!
저는 선생께서 시에 이처럼 능하신 분인 줄은 미처 몰랐습니다.
선생 같은 어른을 만나게 된 것은 다시없는 영광입니다."
"무슨 말씀을 ..
오늘, 나를 위해 수고를 마다 않고
이곳까지 인도해 주셔서 얼마나 고마운지 모르겠습니다."
"아니올시다.
저는 하루에 한번씩 이곳 선죽교를 찾는 것을 일과로 삼는 사람입니다."
선비는 이같이 말을하며 저물어 가는 하늘을 바라보다가,
"선생과 같은 어른과 그냥 헤어지기는 너무나 섭섭합니다.
마침 날도 저물어 오고 하니 읍내로 들어가 "앉힘술집"에서
술이라도 한잔 나누시면 어떻겠습니까?" 하며,
생각지도 못했던 제안을 하는 것이었다.
"좋습니다.
술이라면 나도 무척 좋아합니다.
그런데 '앉힘술집'이란 어떤 술집입니까?"
김삿갓은 술집 이름이 처음들어 보는 터라 선비에게 물었다.
선비는 김삿갓과 함께 읍내로 걸으며 말한다.
"조선 왕조가 도읍을 한양으로 옮겨 가자
개성 사람들의 생활 방식에 큰 변화가 왔습니다.
벼슬길은 아예 외면을 하게되었고 모두가 장삿길로 나서게 된 것도
그런 변화의 하나이지만
앉힘 술집이라는 명물 술집이 생겨나게 된 것도 그때부터의 일이었지요."
"나라가 바뀌게 되면 백성들의 생활에 변화가 따르게 마련이겠지요.
그러나 개성에만 있다는 앉힘 술집은 보통 술집과 어떻게 다른지 여간 궁굼하군요."
아까도 말씀드렸지만 개성 사람들이 장사에 전념하다 보니
중국과의 거래가 빈번해져서 남자들이 집을 오랫동안 비우게 되는 때가 많아졌습니다.
앉힘 술집이란 남편이 장사차 집을 비웠을때,
가정 부인이 부업삼아 간판을 내걸지 않고
알음 알음으로 알고 찾아오는 사람에게만 술을 파는 일종의 내밀 술집이지요.
그러기에 앉힘 술집에서는 술과 안주값을 얼마 달라고 직접 말하지 않아요.
얼마를 먹었든 손님이 알아서 주는 대로 받는 것이 특색이지요.
게다가 앉힘 술집은 술맛도
빗은 아낙의 솜씨에 따라 천차만별이지만 맛이 매우 좋고요,
안주도 한번 다녀간 손님의 취향에 맞춰 주어 기막히게 좋습니다."
김삿갓은 그렇지 않아도 출출해 오던 판인데 안주가 기막히단 소리를 듣자
입안에 침이 샘물처럼 솟아 나왔다.
"술값을 주는 대로 받는다고 하니
세상에 그처럼 인심 좋은 술집이 어디 있습니까?
저는 아까부터 배가 출출하던 판이니 어서 가십시다."
김삿갓은 선비를 재촉하여 술집으로 걸어가다가
문득 궁금한 점이 있어 이렇게 물어 보았다.
"술값을 손님이 알아서 주는 대로 받게되면,
필시 얌체같은 손님이 없지 않을 것이고,
그런 경우는 술집의 손해가 클텐데, 그래가지고서야 장사가 되겠습니까?"
"개성 사람들은 그처럼 경우에 벗어나는 짓을 하는 이는 한 사람도 없을 겁니다.
무슨 일에 있어서나 경우 바르기로는 개성 사람들을 당할 사람이 없으니까요."
"개성 사람들이라고 모두 성인 군자는 아닐 것이고..
개중에 먹고 마신 술값을 적게 내미는 이도 없지는 않을 것 아닙니까?"
김삿갓은 짐짓 개성 사람의 자부심을 가지고 있는 선비의 의중을 떠보았다.
그러자 선비는 빙그레 웃으며 말하는데
"그런 이를 만나게 되면 주인은 적게 내민 술값이라도 아무 말 않고 받습니다.
그러나 그런 짓을 한 사람이 다시 오게 되면 그때는 '오늘은 영업을 하지 않습니다'하고
슬며시 따돌려 버립니다."
선비는 그렇게 말을 하다가 어느 골목 어귀에서 발을 멈추고
"우리가 지금 찾아가는 집은
바로 저기 보이는 집입니다."
김삿갓이 선비가 가르키는 집을 보니,
여늬 여염집과 다름 없는 집이었다.
그 집앞에 이르러 선비가 대문고리를 잡아 흔들며
안을 향하여 작은 소리로 주인을 불러댓다.
"아주머니 계시오?
나, 교동 생원이오.
오늘은 손님 한 분과 같이 왔소이다." 하고
말하자,
주인 아낙네는 목소리만으로도
누가 왔는지 알아 보는 듯 반갑게 나와 대문을 열어주며,
"어서 오세요.
안방으로 드시죠." 하고
정중히 맞아들인다.
선비와 일행인 김삿갓을 안방으로 인도하는 것을 보니,
선비는 이집에선 상객上客으로 대접 받는 것 같았다.
35, 6세로 보이는 주인 아낙네는
쪽진 머리에 은비녀를 단정하게 꽂고 있는 품이
어디로 보아도 현모 양처형의 가정 부인이었다.
"매우 깔끔한 인상의 저 여인이
이 집 안주인 입니까?"
"그렇습니다.
살림살이도 물샐틈 없이 잘하지만 음식솜씨가 좋기로도 소문난 부인이지요."
김삿갓 자리에 앉으며 문득 생각해 보니
선죽교를 찾다 만난 이 선비와 아직 통성명을 할 기회를 갖지 못한 것이 생각났다.
그리하여 김삿갓이 머리를 수그려 보이며 선비에게 말을 건넸다.
"그러고보니,
아직 인사를 못드렸습니다.
저는 구름처럼 떠돌아 다니는 김삿갓이라고 합니다."하고
정식으로 인사를 청했다.
그러자 선비는 두 손을 설레설레 내저어 보이며 말한다.
"뜻에 맞는 사람끼리 술잔이나 나누다 헤어지면 그만이지,
구태여 통성명까지 할 필요가 있겠습니까?
저는 교동골에 살고 있으니 교동생원 이라고 불러주시면 됩니다."
교동 생원이라고 자칭한 선비는 끝내 본명을 밝히려 하지 않았다.
마침 그때 주인 아낙네가 주안상을 들여왔다.
그런데 커다란 소반위에 얹힌 것은,
보쌈 김치 두 보시기에 소주 한 주전자만 달랑 놓였을 뿐이었다.
김삿갓은 기가 막혔다.
"아니,
이게 바로 개성 명물인 '앉힘 술집'의 주안상이라는 겁니까?"
교동 생원은 너털웃음을 웃었다.
"이것은, 요리가 나오기를 기다리기에 지루할 터이니,
기다리는 동안 입놀림을 하라는 전주상前酒床입니다.
진짜 요리는 조금 더 기다려야 나올 테니,
그동안에 심심파적으로 소주로 목이나 축입시다."
손님이 요리를 기다리는 지루함을 덜어주려고
전주상을 내온다는 것은 처음 들어 보는 소리다.
그렇다면 손님에 대한 이곳 개성 술집의 배려는
명물임에 틀림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과연, 보쌈김치를 안주삼아 소주 몇 잔을 나누고 있노라니까,
그때부터 본격적인 술 안주가 들어오기 시작했다.
처음 나온 안주는 쇠고기 수육과 돼지 편육이었다.
김삿갓은 이곳 저곳을 떠돌아 다니며 많은 진수 성찬을 먹어 보았지만,
이날처럼 맛있는 쇠고기를 먹어 보기는 처음이었다.
삶은 고기는 얇지도 두껍지도 않게,
앒게 저며져 있었고 크기 또한 적당해서 한 입에 먹기도 좋았지만,
입안에 넣으면 슬슬 녹아 버릴 만큼 기가막혔다."
"아니,
쇠고기를 어떻게 요리했기에
입 안에 넣기만 하면 슬슬 녹아 버리는 것입니까?"
김삿갓은 수육을 연방 집어 먹으며
칭찬을 하자 교동 생원이 대답한다.
"개성은
워낙 요리를 잘하기로 유명한 곳이랍니다."
"요리를 잘하기로
이렇게 까지 잘 할 수가 있단 말입니까?"
"나는 요리법을 잘 알지는 못하지만,
이 수육은 푹 삶은 쇠고기덩이를 두레박 속에 담아
우물 속에 넣어 두었다가 필요할 때 꺼내서 쓸 만큼 베어낸 뒤
다시 끓는 물에 중탕을 해가지고
종잇장 처럼 고기결에 따라 솜씨 있게 썰어 내온 것입니다."
"고기 맛이 이렇게 좋은 이유를 이제야 알겠습니다.
하긴, 정성을 그렇게 들였으니 고기 맛이 어찌 좋지 않겠습니까."
"쇠고기 수육도 좋지만 제육 편육도 자셔 보세요.
제육은 워낙 보쌈 김치에 싸서 먹어야 제 맛이 나는 법입니다."
김삿갓,
제육을 김치에 싸서 먹어 보니,
그것 역시 형용하기 어려운 별미였다.
"개성 보쌈 김치는 그 맛이 최고입니다."
이렇게 술과 함께 맛있는 안주를 정신없이 먹고 있노라니
이번에는 기름에 부친 전유어(煎油魚)가 들어왔다.
상에는 먹다 남은 고기 안주를 거두어 내고
기름에 갖튀긴 생선을 상위에 올려 놓았는데
생선을 한 입 베어물면 입속에서 바삭하게 씹히는 맛이
혀까지 목구멍으로 함께 넘어 가버릴 지경이었다.
이어서 이번에는 녹말에 부친 따듯한 파전이 나오고
잠시 뒤에는 일정한 크기로 예쁘게 깍은 날밤(生栗)이 나왔다.
음식의 맛도 맛이지만,
만든 사람의 정성이 여간 알뜰할 수가 없었다.
술을 한바탕 마시고 나니 조금 전에 거두어 내간
수육에다 부침개까지 버무려 끓인 매운탕이 나오는데,
고기와 전유어로 끈끈해진 입맛을
매운탕으로 개운하게 씻을 수 있도록
주인 아낙이 배려한 것인데 이맛 또한 천하의 일미였다.
김삿갓은 술과 안주를 이처럼 맛있게 먹어 보기는 난생 처음이었다.
교동 생원은 술을 마실 만큼 마시고 나더니 정색을 하며 김삿갓에게 말을 한다.
"이제 그만 일어나십시다.
'앉힘 술집'은 보통 술집과 달라서 술을 다 마셨거든 곧장 일어나는 법입니다."
"알겠습니다.
내 일생에 오늘밤 처럼 맛나는 술과 안주를 먹어 보기는 처음입니다."
김삿갓이 자리에서 일어나자 교동생원은 주인을 부른다.
"귀한 손님을 모시고 와서 아주 잘 먹었소이다.
값은 모두 얼마죠?"
"처분대로 해주십시요."
교동 생원이 이미 말한 대로,
주인 아낙네는 자기 입으로 술값을 말하지 않았다.
교동 생원은 얼마간의 돈을 내밀며 주인에게 이렇게 말한다.
"내가 돈을 넉넉히 드릴테니,
뒷날에 이 손님이 혼자 오시더라도 한 번 더 대접해 주시오."
그러면서 김삿갓을 돌아보며 말한다.
"이 집 음식이 선생의 입맛에 맞으시는 모양이라
미리 넉넉하게 돈을 맡겼으니,
혼자서라도 한번 더 들러 술과 안주를 드시기 바랍니다." 하는
게 아닌가?
김삿갓은 생원의 배려에 고맙다는 인사를 했다.
이윽고 거리로 나서니 밤은 깊어 가는데
거리에는 개미새끼 한 마리도 얼씬하지 않았다.
김삿갓은 교동생원과 작별을 하고 밤거리를 혼자 걸어가며,
(나에게 술을 사준 교동생원이라는 사람은
도데체 무엇을 하며 살아가는 사람일까?)하는
의혹이 자꾸 들었다.
하루에 한 번씩 선죽교를 찾아가는 것을
일과로 삼고 있다고 하는 것으로 보아
범상치 않은 사람이 확실할 것인데
그러나 더는 그의 정체를 알수는 없었다.
그야 어찌되었던,
이제는 잠자리를 구해야 할 판이었기에
김삿갓은 길가에 있는 어느 집 대문을 두드렸다.
잠시후 계집아이가 나오더니
대문을 열어 볼 생각은 아니하고 대문 안에서 누구냐고만 묻는다.
"나는 길을 가던 나그네로다.
날이 저물어 하룻밤 신세를 지고 싶으니 주인 아저씨께 그렇게 여쭈어라!"
그러자 계집아이는 대뜸,
"우리 집은 여인네만 사는 집이예요.
외간 남자를 들일수 없으니 다른 집으로 가보세요."
그 한마디를 매정하게 내뱉고 안으로 들어 가는 것이 아닌가.
"허허 ...
개성 인심 참 고약하다.
여인네만 사는 집이라면 남자 손님을 더욱 반갑게 맞아 들여야 옳을 일인데 ,
그 집 마누라는 음양의 이치도 모르는가 보구먼."
김삿갓은 혼잣말로 익살을 부려 보며
이번에는 커다란 기와집 대문을 두드려 보았다.
이번에도 계집아이가 나오더니
대문안에서 누구냐고 묻더니 대뜸 말을 하는데,
"우리 집에는 손님을 재워 드릴 방이 없어요.
다른 집으로 가보세요."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수 없이 한참을 걸어가다가
이번에는 조그만 초가집 대문을 두드려 보았다.
그 집 에서는 바깥 주인이 직접 나와 누구냐고 물어 보더니,
"우리 집에는 장작이 떨어져서
방을 데워 드릴 수가 없으니 다른 집에 가보시오." 하며
엉뚱한 핑게를 대며 거절해 버리는 것이었다.
(거절하는 이유도 유만 부동이지, 뭣이? 장작이 떨어졌다고?
송악산 기슭에 살면서 장작이 떨어졌다는 것이 말이 되는 소리야!)
생각할 수록 어처구니가 없었다.
그렇다고 재워 주지 못하겠다는데 싸울수는 없는 일이 아닌가?
김삿갓은 이곳 저곳, 잠 잘곳을 찾다가
어느 집 대문 앞에서는 "깜짝" 놀랐다.
웬 송아지 만큼 큰 개 한 마리가 덤벼드는 바람에
몸을 피하다가 자칫, 발을 헛디딜 뻔했다.
"이크, 웬 개 새끼야"
순간,
김삿갓 등에 메고 있는 봇짐에서 둔탁한 쇳소리가 났다.
"쩔렁"(웬 소리지 ?) ..
김삿갓이 메고 있던 봇짐을 풀어 보니,
그곳에는 꽤많은 엽전이 뀀줄에 꿰어 있었다.
(이게 왠 돈이냐 ? ... )
곰곰히 생각해 보니 마지막으로 봇짐을 풀어 본 때는
지난번 개풍에 들렸을 때 뿐이므로
이 돈은 아마도 개풍 군수 강호동 사또가
전별금으로 몰래 넣어 준 것이 분명해 보였다.
"허허 ..."
"참 재미있는 세상이야 ! "
김삿갓 , 곤궁한 가운데 돈을 보니,
이제는 어엿한 주막으로 들어 하룻밤을 보낼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나그네를 내쫒는 고약한 개성인심에는
한 마디 즉흥시가 없을 수 없었다.
읍호개성 하폐문(邑號開城 何閉門)
읍호가 개성인데 대문마다 왜 닫아 걸었으며
산명송악 기무신(山名宋嶽 豈無薪)
산 이름이 송악인데 장작이 없단 소리는 무슨 말 인가
황혼축객 비인사(黃昏逐客 非人事)
저녁 손님 내 쫒는 인사가 세상에 어디 있나
예의동방 자촉진(禮儀東方 子燭秦)
아이고야 , 예절바른 나라에서 그대들만은 상놈일세.
'방랑시인 김삿갓 > 김삿갓'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돌팔이 의원 집에서 보내는 기막힌 하룻 밤. "상편" (0) | 2022.01.31 |
---|---|
곽 노인이 말한 "팔도의 특성" (0) | 2022.01.30 |
개성 사람들의 두문동 정신. 선죽교 참배(상 (0) | 2022.01.30 |
개풍군수 강영창의 마부(馬夫) 살리기 (0) | 2022.01.30 |
장단에서 黃眞伊를 회상하며 (0) | 2022.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