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시하기 클릭
楊士彦의 어머니 이야기
태산이 높다 하되 하늘 아래 뫼이로다.
양사언이 모든 일에 노력하면 안 되는 일이 없다는 깊은 내력을 살펴 보니 처절하게 살다간 어머니를 그리는 시라는 해석이 kbs 역사 이야기에서 밝혀졌다.
위대한 인물들 뿐 아니라 평범한 사람들까지도 대부분 그들 어머니의 恩功(은공)이 뒤에 숨어 있고, 이러한 모성애의 恩功(은공)으로
만호 한석봉과 그의 어머니 이야기는 아들을 훌륭하게 키운 대표적 한민족의 어머니이리라.
그러나 "양사언과 그의 어머니"에 대하여 아는 사람들은 흔하지 않다. 전라도 영광의 사또로 부임해 내려가는 꽃 피는 삼월의 어느 날 어느 촌 고을을 지날 즈음,
양민은 전날 부임 축하연으로 술에 쩔어 밥을 먹지 못해 배가 무척 고파서 밥을 먹고 가기로 했단다. 그러나 농번기에 사람들이 없었다. 한 소녀가 공손하게 나와 식사 대접을 하겠노라고 아뢴다.
안으로 모시고 부지런히 진지를 지어 올린다. 하는 태도나 말솜씨가 어찌나 어른스러우며 예의 바른지 사또는 너무나 기특하게 여긴다.
고마움에 보답을 하게 되는데... 부채 靑扇(청선)과 紅扇(홍선) 두 자루를 꺼내 소녀에게 준다.
"이는 고마움으로 내가 너에게 채단 대신 주는 것이니 어서 받으라..." `채단'이라 함은 결혼 전에 신랑 집에서 신부 집으로 보내는 청색홍색의 옷감들이 아닌가!
깜짝 놀란 소녀는 안방으로 뛰어가 장롱을 뒤져 급히 홍보를 가져와서 바닥에 깔고 靑扇(청선), 紅扇(홍선)을 내려 놓으라고 한다. "폐백에 바치는 채단을 어찌 맨손으로 받을 수 있겠습니까" 라고 말한다. 소녀는 잘 싸서 안방으로 가지고 들어갔다.
한 노인이 사또를 뵙자고 찾아 왔다. "몇 년 전 부임할 때 시골집에 들려 아침 식사를 하고 어느 소녀에게 靑扇(청선), 紅扇(홍선) 두 자루를 주고 간적이 있느냐?"고 묻는다.
"그런 일이 있었다. 그리고 생생하게 기억한다"고 말하며 아직도 고맙게 생각하고 있다고 말한다.
그 이후로 시집을 보내려 해도 어느 곳으로도 시집을 안 가겠다고 해서 영문을 몰라 이렇게 찾아 뵙게 되었습니다." 어떤 느낌이 스쳐 지났는지 모두 느끼리라.
날짜를 잡아 아내로 맞겠소" 부채 두 자루 선물했으면 밥값으로 충분할텐데, 신의 축복인가!~
이 부인과의 사이에 '양사준'이라는 아들이 있었다. 士彦(사언)과 사기, 두 아들이 탄생한다. 매우 총명하고 재주가 뛰어 났으며, 형제애가 깊어 중국의 '소순, 소식, 소철' 삼형제와 비교되기도 했다고 한다.
정실 부인이 죽고 모든 살림살이를 후처인 사언의 어머니가 도맡아 하게 되고 그러나 아들들이 아무리 훌륭하면 뭣하냐 서자들인데... 적자가 아닌 서자를 낳았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소실 부인의 꿈은 자기 아들들의 머리에서 서자의 딱지를 떼 내는 일이었다.
가족들이 모두 모인 자리에서 눈물 흘리며 말한다. 아들들이 재주있고 총명하며 풍채도 있거늘 그들에게서 서자의 너울을 벗겨주지 않는다."
죽은 후라도 우리 큰 아드님께서는 석 달 복밖에 입지 않으실 터이니, 이리되면 그때 가서 내가 낳은 두 아들은 서자 소리를 면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그러니 내가 지금 영감님 성복날 스스로 목숨을 끊으면 복제가 혼돈하여 사람이 모르게 될 것입니다. 내 이미 마음을 다진 몸, 내가 죽은 뒤 사언, 사기 두 형제한테 서자란 말로 부르지 않겠다고 약속하면, 죽어서도 기꺼이 영감님 곁에 누울 수 있겠습니다.
가슴에 품고 있던 단검을 꺼내 자결을 하고 만다. 떳떳하게 세상을 살아가게 하고 싶었던 여인, 선구자적인 新女性(신여성)인 사언이 어머니의 죽음은 楊士彦(양사언)이 더욱 훌륭한 文人(문인)이 되는데 자양분이 되었으리라.
조선 3대 名書藝家(명서예가)이자 文人이다. 관직에 올라 지금의 철원 사또로 부임하게 되고 금강산의 매력에 흠뻑 젖어 살게 되었다. 그래서 호를 蓬萊(봉래)라 하였다. 어디 한둘이겠는가 만은 양사언이 얼마나 금강산을 활달 분방한 필세가 잘 나타나 있다 하며, [봉래산인(蓬萊散人)].[양사언인(楊士彦印)]의 도장 2과(顆)가 찍혀 있다.
|
'일반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타나 계신분(우받세/지평) (0) | 2016.11.20 |
---|---|
소나기의 유래 (0) | 2016.11.11 |
고수가 알려주는 여행가방 싸는법(아까돈보) (0) | 2016.10.23 |
사돈간의 호칭(내고향/조가리사람들) (0) | 2016.10.21 |
주찬(酒讚) (0) | 2016.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