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시 역대 국회의원
안동은 1945년 8월 15일 해방되면서 경상북도 안동군으로 출발합니다.
1963년 1월 1일 안동군 안동읍이 안동시로 승격되어 안동군에서 분리되었고,. 1995년
1월 1일 안동시와 안동군을 통합하여 도농복합시로서의 안동시가 되었다
2016년 12월 말기준의 안동시 주민등록인구는 73,714세대에 168,798명입니다.
안동의 1963년 시승격이후 최근까지의 국회의원입니다
대수 |
이름 |
소속정당 |
임기 |
선거구역 |
제6대 |
권오훈(權五勳) |
민주공화당 |
1963년12월17일- 67년 6월 30일 |
안동시·안동군 일원 |
제7대 |
김대진(金大鎭) |
민주공화당 |
1967년07월01일~71년06월30일 |
안동시·안동군 일원 |
제8대 |
박해충(朴海充) |
신민당 |
1971년07월01일~72년10월17일 |
안동시·안동군 일원 |
제9대 |
김상년(金尙年) |
민주공화당 |
1973년03월12일- 79년 3월 11일 |
안동시· 군·의성군 일원 |
박해충(朴海充) |
신민당 | |||
제10대 |
김상년(金尙年) |
민주공화당 |
1979년03월-12일~80년10월 27일 |
안동시· 군·의성군 일원 |
박해충(朴海充) |
신민당 | |||
제11대 |
권정달(權正達) |
민주정의당 |
1981년04월11일~85년04월10일 |
안동시· 군·의성군 일원 |
김영생(金永生) |
한국국민당 | |||
제12대 |
권정달(權正達) |
민주정의당 |
1985년04월11일~88년05월29일 |
안동시· 군·의성군 일원 |
김영생(金永生) |
한국국민당 | |||
제13대 |
오경의(吳景義) |
통일민주당 |
1988년05월30일~92년05월29일 |
안동시·안동군 일원 |
류돈우(柳惇佑) |
민주정의당 | |||
제14대 |
김길홍(金吉弘) |
무소속 |
1992년05월30일~96년05월29일 |
안동시·안동군 일원 |
류돈우(柳惇佑) |
민주자유당 | |||
제15대 |
권오을(權五乙) |
통합민주당 |
1996년05월30일~00년05월29일 |
안동시 갑 |
권정달(權正達) |
무소속 |
안동시 을 | ||
제16대 |
권오을(權五乙) |
한나라당 |
2000년5월 30일 ~ 04년 5월 29일 |
안동시 일원 |
제17대 |
권오을(權五乙) |
한나라당 |
2004년5월 30일 ~ 08년 5월 29일 |
안동시 일원 |
제18대 |
김광림(金光琳) |
무소속 |
2008년5월 30일 ~ 12년 5월 29일 |
안동시 일원 |
제19대 |
김광림(金光琳) |
새누리당 |
2012년5월 30일 ~ 16년 5월 29일 |
안동시 일원 |
제20대 |
김광림(金光琳) |
새누리당 |
2016년5월 30일 ~ 20년 5월 29일 |
안동시 일원 |
도농복합시가 된 1995년이후에는 권오을 15,16,17대 3선 전의원과
김광림 18,19,20대 3선현의원이 있고 그전에는 5,8,9,10,12대(전국구)
고 박해충 전의원, 9,10대 김상년의원. 11,12대 김영생의원. 13,14대 류돈우의원과
11,12,15대 국회의원을 지낸 권정달 전국회의원이 있습나다.
안동의 역대국회의원은 모두 15분입니다.
그중에서 9분은 작고하셨으며 6분은 생존해 계십니다.
출 처 : 국회홈페이지 발췌정리
'지역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낙동강변에서 게이트볼을 즐기는 노익장들 (0) | 2017.01.26 |
---|---|
안동 송현동의 발전상을 그려보며 (0) | 2017.01.16 |
파크골프로 강추위를 이기는 노익장들 (0) | 2017.01.10 |
재정비중인 이육사문학관 탐방 (0) | 2017.01.04 |
안동 두물머리에 낙동강시발지표지석 설치 (0) | 2016.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