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인식(婚姻式)과 결혼식(結婚式)의 차이♣
1. 혼례의 의미 옛날에는 남자와 여자가 짝을 지어 부부가 되는 일은 양(陽‧+)과 음(陰‧-)이 만나는 것이므로 그 의식의 시간도 양인 낮과 음인 밤이 만나는 날이 저무는 시간에 거행했기에 날저물 혼(昏)자를 써서 혼례라 했다. 혼례식 사회자가 결혼식을 거행하겠습니다가 아닌 혼례식 또는 혼인식을 거행 하겠습니다가 바른 표현이다.
2. 혼인(婚姻)과 결혼(結婚)
남녀가 만나 부부가 되는 것을 혼인(婚姻)이라 한다. 혼(婚-장가들 혼)자는 남자가 장가든다는 뜻이고, 인(姻-시집갈 인)자는 여자가 시집간다는 뜻으로, 혼인(婚姻)은 남자가 장가를 가고, 여자가 시집을 간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헌법이나 민법에서도 혼인(婚姻)이라 한다.
결혼(結婚)은 남자가 장가든다는 뜻만 있어 남존여비(男尊女卑)사회에서 쓰는 말이다. 또한 이 단어는 일제의 잔재로써 일제 이후에 쓰기 시작한 말이며 쓰지 않아야 할 단어이다.
결(結-맺을 결)과 혼(婚-장가들 혼)으로 (남자가 맺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무엇을 맺는다는 것일까요. 그러므로 우리는 혼인(婚姻)이라 해야 바른 표현이다.
축의금 봉투에도 축 하의(祝 賀儀), 축 혼인(祝 婚姻), 축 성혼(祝 盛婚), 축 화혼(祝 華婚), 축 성전(祝 盛典), 근의(謹儀) 등을 쓰고 축 결혼(結婚)이란 용어는 쓰지 말아야 한다.
상기와 같이 우리의 아름다운 전통용어를 두고 어디서부터 잘못 사용하게 되었는지 모르지만 이제부터라도 바른 표현을 사용 하였으면 한다.
3. 혼인의 정신 혼인예식에는 두 가지의 정신이 구현되어야 한다.
①삼서정신(三誓精神) • 서 부모(誓父母) : 자기를 존재하게 하신 조상과 부모에게 서약한다. • 서 천지(誓天地) : 양(陽)과 음(陰)의 기본인 천지신명에게 서약한다. • 서 배우(誓配偶) : 서로 부부가 되는 배우자에게 서약한다.
②평등정신(平等精神) 혼인이란 남자와 여자가 몸을 합하는 데에 참 뜻이 있다. 남녀가 몸을 합해 부부가 되면 남편이 높으면 아내도 높고, 남편이 낮으면 아내도 낮다. “(婚姻則 男女合禮之義 男女合禮則 南尊則女尊 男卑則女卑)”고 했다. 혼인하기 전에는 신분(身分)이나 나이에 차별이 있더라도 부부가 되면 평등한 것이다. 그러므로 부부는 서로 존댓말을 쓰고 맞절하는 것이다.
상기 내용은 “우리의 生活禮節 (成均館 저) 3절 혼인례(婚姻禮)”에서 인용하였습니다.
생각해 보면, 1. 우리 전통 혼례를 정말 저녁때에 올렸을까? 아니다. 청천백일(靑天白日)하에 떳떳하게 올렸다. 또 우리 혼례는 주자가례에 저녁때에 예식을 올려 저녁 혼(昏)자를 쓰는 것이 아니라 혼(婚)자이다. 2. “남녀가 만나 부부가 되는 것을 혼인(婚姻)이라 한다”는 말은 올바른 말이다. 3. 혼인예식에는 두 가지의 정신이 구현되어야 한다고 하고 ①삼서정신(三誓精神) ②평등정신(平等精神)이라고 하면서 “혼인이란 남자와 여자가 몸을 합하는 데에 참 뜻이 있다. 남녀가 몸을 합해 부부가 되면 남편이 높으면 아내도 높고, 남편이 낮으면 아내도 낮다.(婚姻則 男女合禮之義 男女合禮則 南尊則女尊 男卑則女卑)”고 했다. 상기 내용은 “우리의 生活禮節 (成均館 저) 3절 혼인례(婚姻禮)”에서 인용하였습니다 라고 했는데, 무슨 말을 하는지 모르겠다. 이러하니까 요즈음 혼인에 삼서(三誓)라고 하여 • 서 부모(誓父母) : 자기를 존재하게 하신 조상과 부모에게 서약한다. • 서 천지(誓天地) : 양(陽)과 음(陰)의 기본인 천지신명에게 서약한다. • 서 배우(誓配偶) : 서로 부부가 되는 배우자에게 서약한다. 예식을 올리는데 이러한 말들을 하는데 가관이다. 이러한 것들은 혼인 말이 오가고 준비를 하는 가운데 서사왕래(書辭往來)에 내포하고 있고, 전안례(奠鴈禮)는 왜하는지? 그리고 혼인은 남녀가 아니고 부부가 마음과 몸을 합치는 것이니까 “합례(合禮)”아니고, “합체(合體)”이다. 또 “婚姻則 男女合禮之義 男女合禮則 南尊則女尊 男卑則女卑”는 예기와 가례집람에 보면, “有合體之義 體合則尊卑同 同尊卑則 相親而不相離矣”라고 하였다. “합례(合禮)”와 “합체(合體)”의 의미가 같은지? 남의 책을 인용한다 하더라도 바른 말을 인용해야할 것 같다. 4. 결혼(結婚)이란 말보다 혼인(婚姻)이란 말이 더 좋다는 데는 동감이다.
위 성균관에서 나온 “우리의 生活禮節” 책은 보지를 못했지만 내용을 보아서 『주자가례(朱子家禮)』를 설명한 내용인 듯하다. 우리 전통예절은 『주자가례(朱子家禮)』하고는 많이 다르다. 즉 중국 예절과는 많이 다르다. 그러니까 그러한 내용이 우리 전통예절인 것처럼 소개해서는 안 됨을 알아야할 것이다. |
'일반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로 시행되는 교통법규 (0) | 2016.02.02 |
---|---|
알아야할 각국의 식사예절(갈지) (0) | 2016.01.24 |
대한민국 년령별 인구(2015.1.1.기준) (0) | 2016.01.20 |
집의 종류(전통예절/군자목) (0) | 2016.01.09 |
세계유일 나이셈법( (0) | 2016.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