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문화

경북신도청 이주민이야기

오토산 2021. 1. 29. 00:28


♤어느 늙은 농부의 마지막 일기♤

[경북신도청 이주민이야기]
글쓴이:  어주자
 
일평생 땅만 파 먹고 사신 농부가 있었다.
삽자루를 들고 논으로 가면 점박이 개구리알, 물방개, 잠자리, 무논에 우렁이,

둠벙에 미꾸라지, 말풀사이  소금쟁이, 써래질 이후 끼는 청포, 논뚝 파는 땅강아지,

바람을 가르는 재비들 사이에서 하루를 보냈고
호미를 들고 밭에 나가면 밭두렁에 핀 살구꽃 ,

간밤에 파 놓은 두더지 굴 고추밭에 가치독사,
바뚜버리에 들쥐가족 하늘 높이 뜬 종달이
뽕나무에 걸쳐진 새박이 콩밭에 돼지나물
밍밭에 배차 뿌레이 그런 땅에 이랑을 치고 씨앗뿌리고
해마다 숨이 칵칵 막히는 7-8월 땡볕에는 목줄을 타고 내리는 소금덩어리가 서너 말은 넘었다.

그렇게 순 땅만 파먹고 뼈가 녹도록 일하여  9남매를 다 키워 객지로 내 보내고

살만하니 덜컥  할머니가 먼저 세상을 뜨시고 홀로 고향에서 살다가 나이가 80을 넘기니

다리가 후들거려서  더 이상 농사도 못 지을 정도로 노쇠해져가도 9남매 중 아무도 
 
"아부지요 이제 농사 일 그만 하세요.."
 위로 하는 자식 없다가 그늠의 정치 꾼들이 경북 도청을 이전한다며

20년 넘게 떠들었는데 그 때마다 경북 도청이 구미로 간다니,

영천으로 간다니..하다가 영배미 골 넘어 양배미로 결정이 나고 난 이후 여기저기 
 
"땅 매입 합니다"라고 하는

현수막이 펄럭이고 땅도 별로 좋치 아니하던 산 아래 천수답 김 노인 땅도 덩달아 올랐다.
부동산 업자는 김노인 산 아래 땅은 절대농지도 아니고 잡종지이고

도청이전 예정지로부터 불과 2 k 떨어지고 산 속이라서
 
"모텔이나 식당하면 아주 좋은 자리!"라며

돈을 더 쳐 줄터이니 땅을 팔라고 몇번이고 찾아왔지만

 

김 노인은
 "문전옥답을 우째 파닛껴..안파니더"고개를 저었다.
 
평당 3만원에도 팔리지 아니하던 땅이 읍내에 20개도 넘는 부동산 사무실이 들어서고나서

십만원이 훌쩍 넘어서자 영배미 마실에도 도시 자가용들이 들락거리고

객지 자식들도 갑자기 양철영감 뽕밭뚜버리에 땡벌집에 벌 들락거리듯이 

자주 고향 부모님들을 찾았다.

 

 한마디로
 孝女孝子 家家在라 갑자기 영배미 마실에도 도시 효자들이 득실 거렸다.
 
자연 한두집 늙은 농부들은 평생 땅만 파고 살던 고향집을 정리하고

며느리 성화?에 못 이기는척 대구로도 가고 인천으로도 떠나  갔다.
 
 김 노인도 그리 내키지 아니하지만 유독 맏 며느리가 땅을 정리하고

서울 올라오시면 남은 여생을 더운 물이 콸콸 나 오는 아파트에서 편하게 지내시게 해 준다며

사정 사정 하여 결국 조상이 물려 준 문전 옥답을 정리하기로 마음을 먹었다.
 
첫째 아들도 둘째 아들도 셋째 아들도....
 "한 일억씩만 도와주시면 이참에 30평 짜리  아파트를 팔고 40평으로 늘리겠니더" 하면서

늙은 아비에게 보챘다.

 

허긴 땅이 오르고 벌써 몇 집이 형제간에 싸움도 벌어지고

심지어 미국 이민갔던 아들도 돌아와서는 자기 몫을 요구하는 집도 있었다.
 
김노인은 깊은 고민에 빠졌다.
이러다간 자신이 죽고나서 자식들이 땅 싸움에 휘말려

자신의 묘 앞에 술 따라야 할 제삿 날에는 여느 집처럼 형제들이

따로 따로 올 것 같은 걱정도 앞섰기 때문이다.  

결국 땅을 정리하고 서울 맏 아들 집으로 가기로 했다.
땅 판 돈을 자식들에게 나누어 주는 날...

서울서 제법 사는 둘째 며느리와 자신을 모시겠다는 맏 며느리  사이에 결국  설전이 오가고 ...

부산서 아파트 앞에서 채소 장사하면서 어렵게 사는 딸은 눈물 찔끔 거리면서 떠 났다. 

 

폭삭 늙은 농부가 서울로 떠날 준비를 할 즈음 ...

.이미 반년 전에 땅을 팔고 일산에 사는 아들 집에 갔던 논실댁이가 도로 시골로 내려 왔는데...

돈은 자식들에게 다 빼앗끼고 고향에서 기거 할 방이 없어서

본동네는 살지 못하고 절뒤마을 빈집에 들어 갔다는  이야기가 자꾸 마음에 걸렸다.

마을 늙은 친구들 배웅을 받으면서 눈물을 비치며 고향을 떠 났던 김노인이 

무슨 연유인지 3개 월 만에 다시 고향으로 내려 오셨다.

 

달랑 옷 보따리 하나만 들고 읍내 버스 정류장에 내린 김노인은

밝은 대낮에는 고향 마실로 들어서기 너무 부끄러워

읍내 뒷 쪽 천방 뚝 아래 쭈그리고 앉아 있다가  캄캄한 밤이 되어서야  고향 마을로 돌아와서,
석달 전 버리고 간 고향 빈집으로 더듬더듬 다시 들어가셨는데

간간히 꺼이꺼이 낮은 헛 기침 소리가 새벽이 다 되도록 들리셨다.
 
마을에 늙은 할매들이 그런 김노인에게 먹을 음식을 갖다 주었지만

당체 입에 넣치 아니하시고 도로 밀어 내시었고

그런 중에도 9홉명의 자식들은 단 한명도 찾아 오지 않았다.
 
고향 빈집에서 며칠 밤을 보낸 다음 날 풍산 장날이 서던 날이다.
김 노인은 새벽에 일어나 마당 우물 물을 가마솥에 부어서 펄펄 끓인 후

자신이 오래세월 소를 키웟던 마굿 칸에서  목욕을 하기 시작했다.
목욕하는 사이 낮익은 쥐가 물끄러니 김 노인을 처다보고

앞 마당에 첫 아들 낳던 해에 심었던 반수감나무에서 평소처럼  까치도 울었다. 

목욕을 마친 김노인은 할머니가 살아 있을 때 만들어 주신 깨끗한 한복을 갈아입으시고....

다시 고향  집을 나섰다.

 

마침 느티나무 아래서 당파 씨를 고르던 이웃집 시울실 할매와 구

담댁 할매가 뽀오햔 한복을 입고 나서는 김 노인을 보시고는  

 

"저 어르신 아침부터 옷을 말끔하게 갈아입고 어디가시노?...."

 

"서울서 돌아와가 내두록 식음전페하시고 누워계시더니

오늘은 풍산 장에게 가실 모양있씨더.."

 

"서울 잘 사는 아들한데 호강하러 가신분이

저렇게 돌아와서 당체 말도 아니하니시 맴이 아프이더"
 
"어제 아침에 죽을 끓여서 갖다드렸는데  한 숟가락도 안 먹었띠더..

당뇨도 더 심하고...

이제 허리 병도 도져서 걸음도 잘 못 걸을 실 것 같다하더니

읍내 약 사러 가는 모양있시더!"

 

"빈집에 전기도 없어 우짜닛껴!"
 
"전기는 어제 동장 말로는 다음 주에 불 키도록 한전에서 다시 전기 넣어 준다카디더만...

남의 못타리씨더"
 

당파 씨에 묻은 흙먼지를 털털 털면서 구담댁 할매가
 "그 많튼 문전옥답 다 팔아 자식들 한데 다 떼이뿌고.....

늙으막에 남의 일 같지 안니더"

"지가 그말있씨더...

늘그막에 도시 며느리 꼬임에 빠져가 땅 팔아서 서울 간 영감재이들이

며느리 한데 밥도 제되로 못 얻어 걸리고 날만 새면

종로 무슨 공원인가 거기 간다카디더!"
 
"종로 공원?..

거긴 뭐하는 곳인데.."

 

"거가면 낮에 밥을 공짜로 주는데..

마카 줄서서 기다린다카디너! 염감재이들이!"

 

"우야노?

밥 한끼 얻어 먹을라꼬?.."

 

"그캐도 거기 가는 영감들은 다행이라카디너.

.다리가 성하지 못해가 잘 걷지도 못하는 영감재이들은

집에 종일 있기는 며느리 눈치보이니 마카 골목에 나와서

편하게 안을 헌 의자도 없이 내두록 땅바닥에서 퍼질러 않아서 논다카디더!"

 

"저런!" 
다들 이런 저런 이야기 끝에 휴....하고 긴 한숨을 솥아 내시었다.

시울실 할매와 구담 할매가  걱정스러운 듯이 

가만가만 힘겹게 걸어가시는 김 노인 쪽을 바라보았다.

 

김 노인은 읍내 길로 아니 가시고 

참 진달래꽃이 붉게 피어 있는  마을 앞 산 정살미 쪽으로  오르셨는데..

힘없이 가만 가만 발걸음을 가시던 김 노인은 몇 번이고

고개를 돌려서 고향 집을 바라보기도 했다.
 
그러시는 김 노인이 아무래도 이상해서 할매들이 걱정스럽게 다시  
"저 어르신 어디가는데..

읍내로 안 가시고 앞산으로 올라 가시노?"

 

"할마이 묘에가시나...

정살미 산에 할마이 묘가 있잖닛껴!"

 

"이제 와서 할마이 묘에 간들 무슨 소용있닛껴?...."

 

"오죽 가슴이 답답하면 할마이 묘이 가실닛껴?...

다녀 오시면 속도 풀리실끼고 밥 숟가락도 드실끼씨더 걱정 마이소"

 

"그카마 이따게 노인정에서

배차전 꿉는다카던데 한접시 갖다 주시더!"

 

"그래시더.."
 
시울실 할매가 당파 뿌리를 땅에 탈탈 털면서 다시 눈시울이 붉어졌다.
그날 해가 어둑어둑해져도 앞산으로 오르신 할아버지는 마을로  내려오시지 않았다.
구담댁 할매가 노인정에서 배차전 한접시하고  막걸리 반병을 들고

저녁무렵 김노인 집을 갔지만 김노인은 집에 돌아 오지 않았다.
 
다들 걱정 했지만 누군가 
 "서울 아들집으로 다시 간 모양있씨더!" 하는

바람에 다소 안심하였다.
 
그런대...

다음 날 오후 동네 할매들이 김 노인 빈집 처마에  반쯤 비워있는 농약병을 들고는

 

"우얏꼬 우앗꼬"
탄식을 하며 눈물을 훔치셨고
읍내 형사들이 전경들을 앞세우고 앞 산 김 노인 할머니 산소 쪽으로 급하게 뛰어 올라가고
마을 어귀에는 읍내 앰불런스 한대가 다급하게 왱왱 거리면서 들어서고 있었다.

구답댁 할매와 시울실 할매가 아무래도 걱정스러워 점심 먹고

정살미 산에 올라가서보니 김노인이 할머니 묘 앞에 쓸어져 있고

그 옆에는 작은 활명수 병이 엎질러져 있었다.

 

김노인 주변에는 이제 새로 돋기 시작했던 잔디가 많이 뽑혀 있었고,

일부 뿝힌 봄 잔디 풀은 김노인 손에 한움쿰 쥐어져 있었다.
고통에 겨워 주변 풀을 뽑았던 김노인 손을 보고 구담댁 할매와 시우실 할매가  
 
"이일을 우짜노 이일을 우짜노!..

어런요 어런요 얼매나 속이 아팠으면 잔디를 다 뽑았닛껴

어런요 어런요..이게 무슨 일있껴!"
 
전경들이 들 것에 김노인을 흰천으로 덮어서 산 아래로 내려가고

그 뒤를 두 할매들이 꺼이꺼이 통곡을 하면서 따랐다. 

☆글쓴이 어주자 님은 전문 작가는 아니나 실화를 바탕으로

향토색 짙은 글을 SNS에 종종 올립니다.

풍산출신(70세). 안동경안고교졸업. 본명은 조정래 입니다☆

-카톡에서 받은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