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지리

풍수지리 명산 오토산

오토산 2012. 1. 31. 02:14

 

 

토산은 풍수지리와 관련하여 명당으로 알려진 곳이어서, 전국 술가[術家]들이 예부터 찾아들곤 하던 곳이다. 따라서 "옛날 대홍수가 일어났을 때, 부근의 산들은 모두 물에 잠겼으나 이 산 꼭대기는 오리머리만큼 걸렸다하여 오토산이라고 한다"는 유래설을 제쳐두고도 오토산이라 하게된 사연이 다섯가지나 된다. 그래서 오명산[五名山]이라고도 한다.

오로마을에서 바라본 오토산첫째로, 다섯 개의 명당이 있다고 하여 오명산[五明山]이라고도 불렸는데, 다섯 개의 명당이 있는 지점과 형국의 이름이 오늘날까지 전해져 오고 있다. 풍수 전설에 흔히 등장하는 성지[性智]도사가 상지[相地]한 것으로 구전돼 오는 혈처의 이름과 위치, 방향 등이 구체적이다. 산 봉우리는 제비집[燕巢刑], 동쪽의 산등성이는 등잔을 걸어놓은 [掛燈], 남쪽 산등성이는 잘록한 벌의 허리띠[蜂腰], 서쪽 산등성이는 직각자[曲尺], 북쪽 산등성이는 개구리 발자국[蛙跡] 모양이라는 것이다.

둘째로, 첨사공 김용비 공의 묘터를 잡기 위해서 연을 띄웠는데, 떨어진 자리를 파보니 누렇고[黃], 푸르고[靑], 붉고[赤], 검고[黑], 흰[白] 다섯가지 빛깔의 흙이 나와 오토산이라고 하였다는 것이다.

셋째로, 풍수에서 산을 가리킬 때 쓰는 토성과 같은 의미로 산봉우리가 편평한 형태를 토산이라 하는데, 오토산의 형상이 바로 그러하다. 이같은 산의 모양새 때문이라는 것이다.

넷째로, 사방 산을 둘러보면 동쪽 귀천마을에서 바라볼 때 가장 빼어난 모습으로 다가선다. 그 전체적인 모습이 별 또는 불가사리처럼 생겼으며, 마치 거인의 다섯 손가락처럼 대여섯 갈래의 용맥[龍脈]이 사방으로 뻗어 내리는 드문 산 모습에 의해서라는 것이다.

다섯째, 산에도 면배[面背]라 하여 얼굴이 있고 등이 있다. 오토산 생김새가, 다섯 손가락처럼 정상으로부터 다섯갈래의 큰 지맥이 사방으로 뻗어내려 있으며, 그 모두가 명산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백두대간에서 이어온 산 줄기는 낙동지맥으로 이어져, 보현산을 거치며 북서쪽으로 치달리니 보현지맥이라 한다. 부지런한 세월 솟구치고 또 깍이며 낙동강을 연모해 달리는 가운데 춘산면 구무산을 지나며 다시금 두갈래로 분기둔덕산에서 바라 본 오토산, 정상이 U자형으로 패인 곳이다한다. 서쪽으로 금성산과 마주하고 서 있는 비봉산에 이르른 산 줄기는 북서진 족두리산 너머 흙고개에 이른다. 건지산[乾芝山, 錦山] 지난다음 여력을 다하여 또 하나의 산을 솟구치니 바로 오토산이다.

의성읍의 동남쪽에 위치한 이 산을 중심으로 28번 국도가 서쪽으로, 912번 지방도와 갈래친 길이 동쪽과 남쪽으로 돌아 다시금 28번 국도와 연결된다. 그러므로 동서남북 어디에서고 오토산을 바라볼 수 있다. 이왕 풍수와 관련된 산행길, 지세와 형국을 주변 사람들이 산과 관련지어 자신들의 삶을 이해하는 지인상관론적[地人相關論的] 입장에서 느끼는 오토산 관[觀]을 살펴보고자 한다.

오토산에서 사방으로 뻗어내린 산줄기 어느 한 부분에 기대어 살고 있는 마을, 즉 오토산을 마을의 주산으로 삼은 마을로는 서북쪽의 의성읍 오로리, 남동쪽의 사곡면 토현리, 남쪽의 금성면 만천리, 서쪽의 의성읍 정자리이다. 반대로 오토산을 바라보고 있는 마을, 즉 오토산을 마을의 안산으로 삼고 있는 마을로는 북쪽의 의성읍 치선리와 동쪽의 사곡면 오상리가 있다.

오토산 산자락에 기대어 사는 사람들은 명산의 정기를 받으며 산다고 생각하여 삶터에 긍지를 갖고 장래에 좋은 일이 있을 것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있다. 오토산 북록에 터잡은 오로마을의 입장은 응봉하복치형[鷹峰下伏雉形]의 길지라 여긴다. 오토산 남쪽 골짜기에 터를 잡은 만래[晩來]마을은 옛날에 함양박씨문중 박제[朴濟]라는 사람이 인근 운곡리에 살다, 화성산형[火星山形]의 첨봉들로 이루어진 금성산 험한 산세로 인하여 자식들이 거칠게 자라나지 않을까 염려하여 뒤늦게 이곳으로 이거[移居]하였다고 여겨 지은 마을이름인 것이다. 그 위에 마을어귀에는 마을이 훤하게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인지, 아니면 행주형[行舟形] 마을을 안전하게 정박하기 위한 목적으로 조성한 것인지 조산수[造山藪]를 조성하는 등 풍수적 위의[威儀]까지 갖추고 있는 것이다.

숲실마을의 산수유 꽃이 수채화같다반대로 오토산을 바라보는 마을의 사람들은 자신들의 삶터가 위협받고 있다고 생각하는 등 좌절감을 갖고 있다. 오토산이 해발 높이로 475m에 불과하지만 자신들이 기대고 있는 산에 비해서 지나치게 높아 능압[凌壓]에 걸린다 생각하기 때문이다. 남대천을 사이에 두고 무정한 모습의 오토산 북쪽 기슭과 마주하고 있는 치선1리가 그 대표적 사례라 할것이다. 마을 뒷산 지세가 마치 암꿩이 알을 부화시키기 위해 둥지를 틀고 않은 것과 같다고 하여 자치[雌 혹은 雌雉]라 하였으나, 마주보고 있는 오토산이 마치 암꿩을 덮치려는 매[鷹]의 형상과 같다는 것이다. 따라서 암꿩이 매 때문에 불안하여 알을 제대로 부화할 수 없어 관운과 재운이 따르지 않는다 하여, 궁여지책으로 나온것이 풍수적으로 지명에 비보[地名裨補]를 하는 것이었다. 동쪽의 베틀바위 전설처럼 그 누구의 도움을 받을 수 없다면, 동네사람 스스로 마을을 발전시켜야 한다는 생각으로 암꿩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대신 자치[自治 혹은 自致]라는 지명을 쓰게 된 것이다.

마찬가지로 오상리 또한 남대천 너머 장엄하게 오토산이 바라다 보이지만, 비봉산에서 흙고개로 향하는 산줄기에 위치한 금성산의 뿌리뫼 되는 봉우리(일명 족두리산)가 북쪽으로 날아가는 한 마리 학과 같은 지라 길조[吉鳥]가 쉬어가도록 마을이름을 오동이라 짓기도 하였으나 오토산은 크게 안중에 두지 않았다.

파리의 세느강 교각을 올려다보니 교량형태와 가로등, 불빛모양 어느 것 한가지도 똑같은게 없다. 저마다 개성이 있는 것이 사람이여서 모두 중하다 할 것이다. 일상 산행을 벗어나 풍수도 알아볼겸 오토산에 올라보면 어떨까 ? 풍수라고 하는 것은 자연에 순응하는 것이다. 겨울이면 북서풍이 여름이면 동남풍이 불어오는 것을 고려, 양택을 택할 때에 장풍향양[藏風向陽]하고자 집의 방향은 남향으로 짓는다. 이처럼 따뜻하고 밝은 곳에다 살림집을 짓는 까닭에 양택이라 한다. 또한 살림집을 짓기 이전 산천경계가 제일먼저 스며드는 아늑하고 깊은 곳에다 가장 먼저 조상님들은 가묘를 지으셨다. 조상님들의 지혜와 효사상을 등산하며 배울 일이다.

참고자료 : 이몽일, 영남일보 「영남신풍수기행」, 최영주와 유종근 저 「신한국풍수」, 이완규 저 「안동풍수기행, 돌혈의 땅과 인물」

토산에 이르기 위해서는 28번 국도 영천 또는 탑리방면으로 남향한다. 읍내를 막 벗어날 즈음 교육청사거리 왼편 경신아파트 방면 912지방도 표지판 아래 등운사와 오토산 입구를 알리는 표지석을 따라 5km 남짓 나아가면 길 좌우 몇 채의 집과 버드나무 노송이 반기는 오상리에 다다르게 된다. "의성김씨 오토산 입구"라 새겨진 표지석 따라 귀천교를 건너, 오른쪽으로 그리고 왼쪽으로 들판을 가로지르면 하마비[下馬碑]가 위치하고 있으니, 오토제 가까이 다가왔음을 알린다.

진민사 입구, 오른편으로 신도비가 자리하고 있다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돌아서니, 입구 오른편 어귀 비각이 있다. 비각 안의 신도비로 미루어, 오토산을 배경으로 군[群]을 이루고 있는 제사용 건물이 어느 분을 기리기 위한 것인지 또는 지금 향하는 이 길이 어느 분의 묘지로 가는 신도[]인 것인지 알 수 있다.

고려 공민왕 때에 홍건적이 대거 쳐들어와 임금이 복주(현 안동)로 몽진하고, 의성땅 옥산 성골 등지로 피란을 예정할 즈음 의성일원에서 날뛰던 도적의 무리를 현주로 이들을 토벌 민심을 수습한 공으로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태자첨사[太子詹事]를 지냈으며, 의성군[義城君]으로 책봉된 김용비[金龍庇] 공의 위적[偉]을 기리는 비인 것이다. 공은 신라 마지막 왕 경순왕[敬順王]의 넷째 아들이자, 고려 태조 왕건의 외손자로서 의성군[義城君]에 봉해진 석[錫]의 9세손이다. 상고하기가 힘든 것이 세계[世系]이며, 실전[失傳]된 의성김씨의 조상묘 가운데 발견된 가장 오래된 것이다. - 후손 동강 김우옹 선생이 묘비를 지으며 비문 첫머리에 "우리 시조는 고려 태자첨사 용비"라 하고, 오토산을 의성김씨 시조산이라 하는 까닭이다.

제사를 위한 일단의 건물들을 마주하기 이전, 양쪽으로 먼저 맞이하는 것은 장명등[]이다. 최근 후손들의 앞날을 길이 밝힌다는 뜻으로 새롭게 조성한 풍수적 비보 시설물로 보인다. 등하불명[燈下不明]이라는 이야기와 관련된 듯하다.

등잔불을 켜면 바로 아래쪽은 어둡고 바깥쪽은 밝은 것처럼, 의성땅을 떠나 먼 외지로 나간 후손들은 집안이 번창하는 반면 고향을 지키고 있는 후손들은 잘되지 못한다 하는 이야기와 관련해 등잔밑에 다시금 불을 밝힌 듯하다. 이런 이야기들은 지역의 발전상을 비관적으로 본 것에서 연유한 것이 아닐까 ? 1926년 10월 3일 의성을 동아일보에 소개하면서 나온 이야기에도 10년전과 10년 후에 변한 것이 없다는 것이다. 1927년 128천명이 이던 인구는 지금에서는 외려 절반쯤에 머물고 있는 현실이다.

사원지 물길따라 접어들자 오른편으로 관리사 사경당[思敬堂]과 팔작기와집에 무채[無彩]한 소박한 형태의 오토제[五土齊]가 자리하고 있다. 맨 윗쪽의 산기슭에는 사우[祠宇]인 진민사[鎭民祠]가 자리하고 있다.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팔작기와집 진민사는 1510년경 의성읍 중리리에 건립하였으나, 1657년 옛 자리에는 유지비를 세우고 현 위치로 이건하였다. 건물 통칸[通間]은 우물마루로 깔았다.

진민사 왼편으로 난 산길을 오르니 "입산금지"란 팻말도 마주하고 되고, 등산하는 이들을 위해 조성한 듯한 벤치시설도 눈에 띈다. 송이가 나는 산이라 그러하다. 등산을 하되 가능하면 송이채취 시기를 피할 일이다. 에둘러서 오르니 커다란 산소가 있다. 제사뒷편 오토산 동쪽 산기슭 덩그렇게 솟은 돌혈처[突穴處] 정동향[震]으로 터잡고 있는 이 산소는 명당으로 알려져서 많은 이들에게 회자[]되고 있는 산소다.

명당으로 널리 알려진 김용비의 산소조선조 문과급제자를 96명이나 배출한 것은 괘등혈 묘소로 인하여 발복하여 맞은편 선암마을 뒷편 베틀바위에서 짠 비단을 입을 인물이 된 사례인 것이다. 첨상공의 묘를 발견하고, 아들 김성일에게 비석을 세우도록 이른, 김진[金璡]이라하는 후손이 누구이던가. 다섯아들을 모두 대소과에 급제시켜 자신의 집터를 육부자등과지처[六父子登科之處]의 양택명당으로 이름을 떨친이다.

김용비 공의 산소가 위치한 곳의 형국을 두고, 등불을 등잔걸이에 걸어놓은 듯한 형태라 하여 괘등혈[掛燈穴]이라 한다. 산정에서 중출[中出]로 뻗어내린 용맥의 중턱에 혈을 만들었으니, 일반 산소에 비해 대단히 높은 곳에 위치한다. 공의 산소에서 바라보니 등잔불 밝힐 기름병[油甁案]을 대신하고자 들깨를 심었다고 전하는 귀천들이 일망무제로 내려다 보이고, 남대천 너머 오상리 일대 뭍 산봉우리들은 수많은 학인들이 옹기종기 등불아래 모여않아 공부를 하고 있는 듯 보인다.

토현지 옆, 왕버들 3형제가 정답다높이 있는 등불이 밝은 빛을 뿜는 것처럼 자리가 밝아야 하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서 바라볼 때에 등불을 보듯이 뚜렷하게 보여야 한다. 또한 바람의 침범을 받지 않아야 한다. [風殺] - 높은 곳에 위치하면서도 바람의 침범을 받지 않아야 한다는 것은 모순으로, 그런 조건을 충족한 땅이 진정 괘등혈이다. 흔하지 않기에 그런 땅을 찾기란 쉽지않다. 그러나 선산의 도리사[桃李寺]와 이곳은 분명 괘등혈에 해당하는 것이다. 양 옆의 능선이 바람을 막아주기에 그렇지 않을까 한다.

묘지 뒷편 오름, 산정으로 향하는 길은 짧은 코스지만 경사가 가파른 오르막 일변도로 힘에 부친다. 된비알 길을 쉽게 오를 수는 없을까 헐떡이며 오르는 길, 고개숙여 무게 중심을 앞쪽에 둬 보기도 한다. 풍살이 없다는, 바람 없는 오름길이라 땀이 많이 흐른다. 일부러 사우나에서 흘리는 땀에 비해, 산행 중에 흘리는 땀에는 몸안의 온갖 노폐물들만 배출되는 것이리라.

오토산정에서 바라본 의성읍 일원이후로 산길 4거리를 지나 260도 서쪽으로 계속 방향을 잡아 소나무 숲 사이를 오르니 능선에 닿는다. 능선에서 또다시 마주하는 것은 묘지다. 묘지에서 남쪽으로 비봉산과 금성산이 말발굽 형태로 양립하고 있는 모습들이 다가선다. 북서방향이 가야할 능선길이다. 이후로 케릴을 만난 다음에 고도를 낮춰 무명의 안부를 만든다. 이곳에만천마을에서 임도로 향하는 길 오른편 금남정 서도 역시 만나는 것은 무덤이다. 좋은 명산, 좋은 명당이라 하지만 작은 밥상에 여럿 둘러않으면 먹을 게 없는 것이다. 또한 산속 깊숙히 들어서면 모래골, 모모곡, 돌티미라고 하는 골짜기가 있는데, 옛날 금, 은, 동, 철이 생산되던 곳이다. 현재에도 매화석이 많이 채취되고 있다. 실제로 토현마을 뒷편 신당골[神堂谷] 폐광의 지하광도을 살펴보면 사방 수백미터씩 골수를 파 버려 텅비어 있는 비어있는 것이다. 결국 발복은 당사자들의 각고의 노력에 의한 것이다.

산길에서 만나는 산불감시초소안부를 지나 오르니 곧 오토산 정상이다. 멀리에서 보면 산정은 푹파인 U자 모습이다. 산정에서는 못밑들 너머의 동쪽에 삼국시대 조성하였다는 산정식 토석혼축의 성[山頂式 土石混築城]이 있는 치선리 뒷산과 오토산의 등불로서 베를 짜고 있는 전설의 베틀바위치선리 석탑이 있는 선암산 그리고 동쪽의 동산과 둔덕산, 북쪽으로 서당산과 천제봉, 서쪽의 구봉산 등이 오토산과 더불어 작은 분지를 형성하고 있으며, 한 가운데 위치한 읍 일원이 훤하게 내려다 보인다.

오토산정을 내려서며 고사리가 군락을 이루고 있다. 280여m쯤 내려서면 만천리 임도와 갈라지는 갈림길을 만나게 된다. 만천리 임도의 왼쪽은 흙고개로 향하는 길이다. 흙고개로 향하다 남쪽으로 향하면 금남정[錦南亭]을 지나 오로마을 노거수 아래, 산행의 피로를 풀기좋을 않을 공간 금성면 만천리로 내려서게 된다. 오른편은 구리못을 지나, 경치좋은 곳이라 건립연대가 미상인 정자 하나가 있어 현령이 아침마다 소풍을 즐겼으며, 무더운 한낮 오가는 길손들의 휴식처가 되었다 하는 정자리[亭子里]로 향하는 임도이다.

갈림길을 스쳐 산불감시초소를 만나게 된다. 초소에서 내려서며 360m쯤 내려서다 능선길을 버리고 오른편 아래로 내리게 된다. 내려서는 길에는 약수터도 만나게 된다. 오토산 북쪽 산기슭에 자리잡은 날머리 오로리는, 마을뒷편 산에서, 다섯 명의 노인이 치선리 베틀바위에서 선녀들이 베를 짜는 모습과 마을 위의 구룡지[九龍池]에서 놀고 있는 아홉 마리의 용을 구경사곡감을 장려하려고 노력하기도 하였다는 보도자료하던 산 밑이라 하여 오로밑 또는 오로미[五老尾]라 한다. 산행은 이로써 끝이 난 것이다. 이곳에서 들머리 오토제까지 다시금 되돌아 가는 거리는 5.5km이다.

토산이 위치한 사곡면[舍谷面]은 군의 동부에 위치하고 있다. 높은 산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남대천 유역 좁은 평야를 형성할 뿐이어서 주목받지 못하던 지역이었다. 그러다 최근 행정자치부와 서울신문사가 공동으로 주관한 "제1회 살기좋은 지역만들기" 경연대회에서 '화전리 숲실마을'이 대상인 '국무총리상'을 수상하게 되었으며, 살기좋은 지역만들기 공모에서도 우수 사업으로 평가받아 "산수유 십리 꽃길"을 소재로 산수유 축제가 열리는 등 국내 4대 산수유 명소로 알려지게 되었다. 3월말 노란 의성개나리와 함께 수채화같은 봄풍경을 연출한다.

봄이면 마을은 온통 노란색 물감이 든다80년대 전국 최고를 자랑하던 작약꽃이 경관보전사업으로 간간 재배되고 있을 뿐이나, 5월말에서 6월초면 아가씨 입술처럼 붉고, 함박웃음을 머금은 듯 피어나는 작약꽃으로 인해 주요한 출사지 가운데 한 곳이 되었다. 이외에도 사곡은 임금께 진상하던 사곡감의 원산지이기도 하다. 가을이면 잎이 떨어진 산수유 나무에 빨갛게 맺힌 열매가 보석처럼 맺히니 화[花]~아~ 노란꽃, 빨간 열매가 이 고장을 치장해 주는 것이다.

더불어 기우제를 지내면 곧 비가 내렸다하는 영험한 혈동[穴洞] 또한 사곡면 내에 있으니 신비감을 더한다. 조선산수유 십리 꽃길을 산책하는 축제 참가자왕조실록 중종 22년(1527년) 5월, 심한 한발로 두어달 넘는 가무늬 곡식이 모두 말라 버릴 처지다. 이에 여지승람[輿地勝覽]을 상고하여 팔도관찰사에게 치제하게 하였으니, 기우를 지내 응답이 있는 곳으로 경상도 8곳중 의성땅 혈동[穴洞]과 혈암[穿岩] 또한 영험한 곳으로 알려져 수령이 전물을 갖추어 행제하던 곳이다.

'풍수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짓기와 풍수  (0) 2012.03.19
동기감응  (0) 2012.02.16
집안의 풍수 10가지  (0) 2011.12.15
오토산의 풍수지리  (0) 2011.12.03
서울 4대문 4소문  (0) 2011.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