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니어방

낭만논객 이바구(아까돈보作)

오토산 2014. 4. 17. 05:36

 

 

- 늙어가는 내 꼴을 보면서-
      고려 말의 선비 이색(李穡)이 이렇게 탄식하였습니다. 백설이 자자진 골에 구름이 머흐레라 반가운 매화는 어느 곳에 피었는고 석양에 홀로 서서 갈 곳 몰라 하노라 흰 눈이 아직도 다 녹지 않고 남아있는 골짜기에 덮인 구름이 험악해 보인다. 그리운 매화는 지금 어디 쯤 피어 있는 것일까. 석양에 홀로 서 있는 나는 도대체 어디로 가야 옳은가. 이색은 1328년에 태어나 1396년에 세상을 떠났으니 고려조가 무너질 때 그는 이미 70을 바라보는 노인이었을 것입니다. 나라의 앞날을 걱정하면서, 한 시대의 뛰어난 선비였던 목은(牧隱)은 봄을 노래하는 매화를 그리며 탄식하였습니다. 나는 이미 80을 넘어 90을 바라봅니다. ‘건강 백세’를 운운하는 사람들이 점점 많아지지만 다 모르고 하는 소리입니다. 건강하게 100세를 살겠다는 것은 허망한 꿈입니다. ‘노익장(老益壯)’을 말하는 이들은 노년의 고통을 경험하지 못한 사람들입니다. 사람마다 회갑을 넘기기가 어렵던 시대에 ‘장수’는 바람직한 것이었을지 모르지만 오늘은 아닙니다. 우리들의 평균 수명이 80을 넘게 되었다는 오늘, 장수’의 비결을 운운하는 것은 매우 죄스러운 일입니다. 오히려 ‘죽음을 생각하는 모임’이 바람직하다고 나는 믿습니다. 오늘 20대, 30대의 젊은이들은 노인들을 보면서 ‘자기들과는 무관한 사람들’이라고 착각하고 있지만, 오늘의 노인들도 한 때는 새파랗게 젊은 사람들이었음을 기억해 주기 바랍니다. 땅바닥에 앉았다간 일어나기가 어렵고, 조심하지 않고는 계단을 무사히 오르내리기가 어려운 사람들은 노인이라고 하는데, 사는 일이 힘에 겹다는 사실을 날마다 느끼면서 오늘도 살아갑니다. ◆2014/02/27(목) -‘낭만 논객’이 되어- 새해에 접어들어서 종편 에 새로운 프로가 하나 등장했는데 그 이름이 ‘낭만논객’입니다. ‘낭만’이 있는지 없는지 잘 모르겠지만 명칭만은 ‘낭만’입니다. 세 사람이 1주일에 한 번씩 모여 앉아서, 조명을 받아가며 한 2시간 떠들어댑니다. 나의 왼편에는 당대에 유명한 가수 조영남 씨가 앉아 있고, 내 오른 편에는 50년 이상 아나운서로 이름을 떨친 김동건 씨가 앉습니다. 2시간을 떠들어도 방영되는 분량은 그 반 밖에 안 되니 편집을 하는 사람들도 힘이 들겠죠. 우리 세 사람은 한 달에 네 번은 꼭 만나야 하는 뜻하지 않았던 운명의 이 야릇한 ‘장난’을 즐기고 있습니다. 세 사람의 나이를 평균하면 77세라는데 그 중에서도 최연장자인 내 나이는 2014년 정월 초하루부터 87세가 되었으니 집에 누워서 쉬어도 탓할 사람이 없겠지만 나는 이 날까지 하루도 쉬어 본 적이 없습니다. 디스크 수술 때문에 세브란스 병원에 입원했던 7일 정도의 ‘강제 휴가’가 있었고, 교도소에 갇혀 있던 동안은 일은 하지 않고 밥을 먹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젠 TV에 나와서 무슨 말을 해도 나를 잡아갈 정보부도 없고 보안사도 없습니다. 하고 싶은 말을 누구나 거침없이 할 수 있는 ‘멋진 새 세상’이 우리의 세상이 되었는데, 감옥에 안 가도 되는 나라라고 하여 저마다 마음 놓고 떠들어대니 매우 요란하고 시끄럽습니다. 그래서 리는 말을 삼갈 것입니다. 김동건은 이 시대에 가장 예의 바른 사람인데, 예(禮)가 예술인 걸 모르는 사람들이 아직도 많습니다. 나의 인생 후배이자 당대의 명가수인 조영남은 이 시대에 가장 자유분방한 ‘철 안 드는’ 예술인입니다. 이 두 ‘예술인들’을 좌우에 거느리고 인생을 논하는 일이 벅차게 감격스럽다고 느끼면서 혼자서 ‘노년 만세’를 부릅니다. 노인에게도 함께 일할 기회가 주어졌으니 고마운 일이지요. ◆2014/02/24(월) -약속을 안 지키는 사람들- 가장인 남편은 아내와 아들, 딸을 먹여 살려야 할 책임이 있습니다. 그런 책임이 명문화 돼 있는 것은 아니지만 관습과 전통이 그렇게 되어 있습니다. 결혼식을 올릴 때부터 이와 비슷한 약속이 맺어진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생활 능력이 없는 남자는 결혼할 자격이 없습니다. 무능력자로 태어난 사람은 국가가 맡아서 관리할 수밖에 없습니다. 사회란 모든 구성원이 서로 약속을 지키겠다는 계약 하에 성립 된 공동체입니다. 그러므로 약속을 이행하지 못하면 사회로부터 격리되게 마련입니다. 재판을 받고 언도된 햇수만큼 감옥에서 살아야 합니다. 탈옥해도 장발장처럼 되기는 어렵습니다. 거짓말은 절대 안 되지만 약속을 어기는 것은 그리 큰 죄가 아니라고 믿고 있는 인간들이 지도층에도 많아서 걱정입니다. 어떤 저명한 정치인이 기자로부터 “왜 그렇게 자주 거짓말을 하십니까?”라는 질문을 받고 이 정치인은 태연하게 대답하였습니다. “나는 약속을 못 지킨 일은 여러 번 있지만 거짓말을 한 적은 없습니다” 이런 정치인들 때문에 나라가 이렇게 어지럽습니다. 지킬 수도 없고 지킬 뜻도 없는 약속을 남발하고 원하던 것을 얻으면 그 모든 약속들은 물거품이 되고 마는데, 약속을 지키고자 죽을 애를 썼지만 그 약속을 지키지 못하는 경우도 있을 겁니다. 그런 경우에는 국민이 그렇게 된 사정을 헤아리고 용서합니다. 동정합니다. 오히려 위로합니다. 거짓은 사람을 화나게 하지만 진실은 사람을 눈물겹게 만듭니다. ‘창조 경제’가 성공할 낌새도 보이지 않는다고 야단스럽게 구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왜 ‘창조 경제’가 쭉쭉 뻗어나가지 못하는가 한 번 살펴보고 따져 봐야 할 일인 것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나는 ‘창조 경제’가 어느 유명 정치인의 그런 맹랑한 ‘약속’은 아니었다고 믿습니다. ‘창조 경제’가 반드시 무슨 열매를 거두게 되리라고 확신합니다. 진실은 본질적으로 거짓과는 다르기 때문입니다. ◆2014/02/23(일)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것은?- 권력입니까? 아닙니다. ‘세월’입니다. 이명박 대통령은 대통령이 되고 나서는, (그가 대통령에 당선되도록 나도 최선을 다했건만) 한번도 “청와대에서 만납시다”라고 하지 않았고, 누구 말만 듣고 정치를 그 따위로 했는지는 모르지만 지난 번 대선에서 자유민주주의가 구사일생으로 살아남았습니다. 그런데 오늘 나는 <낭만논객>이라는 TV 프로에라도 출연하는데 이명박 씨는 어디서 무얼 하는 지 아는 사람이 없습니다. 왜 그렇게 됐는가? 세월 때문입니다. 임기가 차서 청와대에서 물러날 수밖에 없었기 때문입니다. 대통령 임기가 있다는 건 그이도 알고 있었겠지만 세월이 그렇게 빠르다는 것은 모르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럼 ‘돈’이 가장 무서운 것인가요? 아닙니다. 정주영 회장도 이병철 회장도 애써 벌어놓은 그 많은 돈을 저 세상에서 무슨 일에 쓰겠습니까. 두 분 다 그저 잠잠히 계십니다. 그래도 이 겨레가 오늘 밥술이나 먹게 된 것이 현대와 삼성 덕분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대우의 김우중 회장은 아직도 고향 땅을 밟지 못하고 객지를 방황하고 있다는데 그것이 모두 세월 탓입니다. 그 이 자신에게 무슨 큰 죄가 있겠습니까? 미인도 세월 앞에 무기력하다는 걸 나는 압니다. 우리 시대의 뛰어난 미인은 최은희 씨였습니다. 그 미인이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라는 영화에 출연했을 때 그를 아름답다고 생각하지 않은 한국인은 없었을 겁니다. 그러나 ‘세월이 웬수’라, 몇 사람이 그이를 모시고 점심이나 함께하려던 계획은 이미 두 번이나 ‘무기연기’ 되었습니다. 그 때마다 병원에 입원할 수밖에 없어서! 슬픈 일입니다. 세월을 원망한들 무슨 소용이 있습니까? 하와이의 화산도 터져서 용암이 흐르다 멎는 법이고, 폭설 때문에 동해안에 쌓였던 큰 눈도 조만간 녹아버리지만 세월은 변함없이 가고 또 가고, 흐르고 또 흐르는 것 아닙니까? 뭐니 뭐니 해도 가장 무서운 건 세월입니다. 세월 앞에 겸손하기를! 김동길

해는져서 어두운데 찾아오는 사람없어
밝은달만 쳐다보니 외롭기 한이없다 내 동무 어디두고 이 홀로 앉아서 이일 저 일을 생각하니 눈물만 흐른다
고향하늘 쳐다보니 별떨기만 반짝거려 마음없는 별을보고 말전해 무엇하리 저 달도 서쪽산을 다 넘어 가건만 단잠 못 이뤄 애를쓰니 이 밤을 어이해



'씨니어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비寂, 三樂   (0) 2014.06.07
노년의 성에 대하여  (0) 2014.06.03
왜 엉덩이근육이 중요할까?(아까돈보)  (0) 2014.03.23
자식은 내것이 아니다(아까돈보)  (0) 2014.02.11
법륜스님의 잘늙는법  (0) 2013.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