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에 숨겨진 두여인의 공로(우받세/노라) 숨겨진 두 여인의 공로 표시하기 클릭 숨겨진 두 여인의 공로 미모가 출중한 여인들로 인해 한 왕조나 가문 그리고 개인이 화를 당하거나 멸망한 사례를 우리는 역사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중국에서는 말희, 달기, 포사, 서시 같은 미색에 빠진 왕들 때문에 . 하,은.주,오나라는 멸망하게 .. 우리나라문화 2016.01.03
외국인이 본 한글(하늘여울/세한) 외국인이 본 한글 One example of unique Korean culture is Hangul, the Korean alphabet. There are no records in history of a king made a writing system for the benefit of the common people except in Korea. The Korean alphabet has an exact purpose and objective So its use cannot be compared with other languages. 한국 문화의 독자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예가 .. 우리나라문화 2015.11.17
덕수궁에서 고종황제를(처음처럼作) 오랫동안 가다듬고 알뜰히 챙겨 갈무리한 소중한 자료와 내용을 다시 복원하여 대한제국역사관이란 이름으로 우리를 만나고 있다. 덕수궁, 고종황제의 정전으로 지어진 석조전이 그동안의 우여곡절을 씻고 우리에게 아픈 역사를 가슴을 열어 멍든 응어리를 보여준다. 서울길에 들린 덕.. 우리나라문화 2015.07.08
오죽헌 별곡(아까돈보) ◆오죽헌 별곡- 조선왕조 야사 신사임당은 조선시대의 여류 문인이자 화가였고 율곡 이이의 어머니이기도 하다. 사임당은 1504년(연산군 10년) 강릉 북평촌(오죽헌), 외가댁 에서 신명화공의 둘째 딸로 태어나 외조부의 가르침을 받으며 자랐다. 어려서부터 부모에 대한 효성이 지극하고 .. 우리나라문화 2015.07.04
한국의 탑과 비 .종등 귀한 국보(우받세지평) 한국의 碑,塔, 鐘等 貴重한 國寶 표시하기 클릭 ◈한국의 탑과 비와 종등 귀중한 국보◈ 塔. 碑. 鐘. 國寶 國寶2호 원각사지십층석탑 圓覺寺址十層石塔 서울 종로구 종로2가 38 조선(朝鮮) 세조(世祖) 11년(1465)에 세운 원각사는 연산군(燕山君) 때 폐사(廢寺)되어 현재 이 탑과 비(碑)만 남아 .. 우리나라문화 2015.06.02
우리나라 사적(갈지) 우리나라 史跡 巡禮 우리나라 史跡 巡禮 史跡 1호 慶州 鮑石亭址 경주 남산 서쪽 계곡에 있는 신라시대 연회장소로, 젊은 화랑들이 풍류를 즐기며 기상을 배우던 곳이다. 중국의 명필 왕희지는 친구들과 함께 물 위에 술잔을 띄워 술잔이 자기 앞에 오는 동안 시를 읊어야 하며 시를 짓지 .. 우리나라문화 2015.03.16
102칸짜리 강릉 선교장(갈지) 102칸 짜리 강릉 선교장...실제로는 300칸<하인거주포함하면> 102칸 짜리 강릉 선교장 강원도 유일의 만석꾼 족제비가 만들어준 부잣집 한국 최고의 부잣집 한옥은 어디일까. 일반적으로 궁궐이 아닌 일반 양반집으로 가장 크게 지을 수 있는 집은 99칸이라고 알려져 있다. 지나친 낭비.. 우리나라문화 2015.03.03
조선왕들의 재미있는 일화들(하늘여울/세한) ★ 조선 국왕들의 재미있는 일화들! 01. 태종 1. 직업정신 투철한 사관이 따라다니며 일거수 일투족을 다 기록해서 태종이 걷다 헛발질한 것도 적었다. 태종이 그건 제발 지워달라, 창피하다 애원까지 했는데도 사관은 끝까지 "왕이 길을 걷다 헛발질하다. 헛발질한 것을 적지 말라고 말한 .. 우리나라문화 2015.01.10
한국이 세계 최초인것들(한국예절) 한국이 세계 최초인 것들 한국이 세계 최초인 것들 1. 배만들기(조선) 세계 최초 - 8천년이상전 (경남 창녕군 부곡면 출토) 2. 고래잡이 세계 최초 - 8천년이상전 (경남 울주군 반구대 암각화) 3. 쌀농사 세계 최초 - 1만 5천년이상전 (충북 청원군 출토) 4. 신석기 세계 최초 - 2만년이상전 (전남.. 우리나라문화 2015.01.07
세계의 자랑거리 아름다운미술품 부연(우받세/김무덕) 부 연 글/ 김 무 덕 부연이란 우리나라의 절(사찰)이나 사당 등의 고 건축물의 지붕의 이음새 즉 이중 연목을 말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건축 양식이 나타난 것은 고려 때 어느 건축목수가 궁궐을 짓는 일을 하면서 계산을 잘못하여 지붕을 만드는 연목길이를 설계보다 짧게 재단을 하여 추.. 우리나라문화 2015.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