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상식 587

IT시대 한글의 우수성

아~! IT 세종대왕님 중국인이 컴퓨터 자판을 치는 모습을 본다. 3만 개가 넘는다는 한자를 어떻게 좁은 자판에서 칠까? 한자를 자판에 나열하는 게 불가능해 중국어 발음을 먼저 영어로 묘사(한어병음)해 알파벳으로 입력한 다음에 단어마다 입력 키를 눌러야 화면에서 한자로 바뀐다. 불편한 건 더 있다. 같은 병음을 가진 글자가 20개 정도는 보통이다. 그 중에서 맞는 한자를 선택해야 한다. 한국의 인터넷 문화가 중국을 앞선 이유 하나가 여기에 있다. 타이핑을 많이 하는 전문직 중국인들은 한자의 획과 부수를 나열한 또 다른 자판을 이용한다. 자판을 최대 다섯 번 눌러 글자 하나가 구성되므로 오필자형(五筆字型)이라고 한다. 속도가 빠르지만 익히기 어려워 일반인은 못 한다. 일본인은 어떨까. 컴퓨터 자판을 보니 ..

일반상식 2020.09.16

술에 얽힌 재미난 단어 6가지

#語源 韓國史 ♡수작(酬酌)이란? 酉(닭 유)자가 닭의 의미만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酉라는 한자는 원래 배가 잘록하고 밑이 뾰족해 모래나 진흙 바닥에 꽂아두기 좋도록 만들어진 술독 또는 술 단지를 그린 것이다. 그래서 酉가 들어간 글자들은 술과 관련된 경우가 많다. 그 대표적인 경우가 ‘酒와 ‘술 부을 작’(酌)이다. 酬酌이란‘갚을 수(酬), 술 부을 작(酌)’이니 술잔을 주고받는다는 의미이다. 이렇게 酬酌은 잔을 주거니 받거니 하고 술을 권하는 것이니 친해보자는 뜻이다. 음주문화(飮酒文化) 유형은 대개 세 가지다 자작(自酌)은 제 술잔에 자기가 마시고 싶은 만큼 따라 마시는 음주문화로 개인주의가 발달한 서양인들의 술 문화다. 대작(對酌)은 중국이나 러시아,동구의 전통적인 음주문화로 잔을 맞대고 건배를 ..

일반상식 2020.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