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상식

삼종지도와 칠거지악(수요산심회/보해선생)

오토산 2017. 7. 13. 16:36

 

 

지금이 어떤 世上인데....... 고려시대(高麗時代)도 아니요 조선시대(朝鮮時代)도 아닌,  여권(女權)이 신장(伸張)되어 하늘 끝에 닿으니 男子보다 위세(威勢)가 더 등등(騰騰)한 21世紀 民主主義 大韓民國에서, 어느 누가

삼종지도(三從之道)를 論하고 칠거지악(七去之惡)을 말할 것이며, 만약(萬若) 요즘같은  世上에 이를 옳다고

主張하며 반드시 지켜야 할 윤리(倫理) 도덕(道德)이요, 아름다운 관습(慣習) 이라고 이야기 하는 사람이 있다면, 길 가다가 몰매맞기 십상이요,  지나가는 개(犬)도 소(牛)도 웃을 것입니다.  만고풍상(萬古風霜) 다 겪은 70代 中半의 小生이 이런 世上의 변화(變化)를 몰라서 三從之道와 七去之惡을 이 페이지(Pager)에 소개(紹介)하는 것은 아닙니다. 설이나 추석(秋夕) 같은 명절(名節)에 집안 식구(食口)들끼리 둘러 앉아서 이런 저런 이야기 하다가, 또는 시장통 도로변(道路邊) 포장마차(布帳馬車)에서 친구(親舊)들끼리 막걸리 한 사발 받아 놓고  온갖 잡담(雜談) 다 하다가, 얼컨히 취기(醉氣)가 돌아 괜스리 自身과 친구(親舊)의 가족사(家族事)를 이러니 저러니 不必要하게 입에 담다가, 혹시 三從之道가 어떻고 七去之惡이 어떻니 하면서 시끌벅쩍  말(言)들이 오가는 일이 생긴다면, 그래도 일반상식(一般常識)으로나마 그 內容을 조금은  알고  말하는 게 좋을 것 같아서 여기 옮겨 적어 봅니다.


1.삼종지도(三從之道) -- 여자가 지켜야할  세가지 도리(道理)    <出處 : 1. 禮記 儀禮篇 喪服傳   2. 小學> 

      여자유삼종지도(女子有三從之道)--女子에게는 쫓아서 지켜야할 세가지 도리(道理)가 있으니 

          (1).재가종부(在家從父) -- 자기 집에 있을 때(어려서)는 아버지(부모님) 말씀에 따르고

          (2).적인종부(適人從夫) -- 시집을 가서는 남편의 말에 따르고   * 適(시집갈  적. 갈 적. 마침  적)  

          (3).부사종자(夫死從子) --  남편이 죽으면 아들(子息)의 말에 따른다.

              #   三從之道를 다른 말로   三從. 三從依托. 三從之托.  三從之禮, 三從之德, 三從之義.

                   三從之法 라고도 한다. 


2. 칠거지악(七去之惡) --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즉 이혼(離婚)할 수 있는 일곱가지 事項.  2,500 餘年

                                    前 孔子께서 말씀하신 것으로  "七去" 또는 "七出" 이라고도 한다.

                                         <出處 : 1.孔子家語  2. 大戴禮 本命篇.  3. 儀禮   등>

出處에 따라 原文이 조금씩 다르나 뜻은 同一하니, 대대례(大戴禮)  본명편(本命篇)에  부유칠거(婦 有七去) 즉 부인(婦人 : 아내)을  내쫓을  수 있는 일곱가지 事由(七去之惡)가 있으니 

       (1). 불순구고거(不順舅姑去.=  不順父母 = 不順) - 시부모(媤父母)에게 순종(順從)하지 않는 것. 

       (2). 무자거(無子去 = 無子) --아들을 낳지 못하는 것. 한 가문(家門)을 계승(繼承할) 아들을 낳는 것

                                               은 아내(女子 : 婦人)의 중차대(重且大)한  책무(責務)였다.

)       (3). 음거(淫去 = 不貞 = 淫行) -- 행실(行實)이 부정(不貞)하고 음란(淫亂)한 것.

       (4). 유악질거(有惡疾去 = 惡疾) -- 나쁜 병(病)을 갖고 있는 것.

       (5). 투거(妬去  = 妬忌 = 嫉妬) -- 시기심(猜忌心)이 많아 심하게 질투(嫉妬)하는 것.

       (6). 구다언거(口多言去 = 多言 = 口舌) -- 말이 많아서 남의 입에 자주 오르내리는 것.

                                                              즉 쓸데 없는 말이 많은 것.

       (7). 절도거(竊盜去 = 竊盜) -- 손이 거칠어  남의 물건을 훔치는 것.


@ 朝鮮 後期에 와서 개화사상(開化思想)이 조금 밀려 들어올 때의 朝鮮 最後의 法典인 형법대전(刑法大典)에 무자(無子)와 투기(妬忌)를 이혼(離婚) 사유(事由)에서 제외(除外)하고  "오거(五去)" 라고 한 때도 있었고, 또 자식(子息)이 있을 때(有子)는 離婚을 금지(禁止)하여 4거(四去)로 한정(限定)한 때도 있었으나, 1908년 刑法大典을 개정(改定)하면서 七去之惡은 法律에서는 完全히 사라지게 되었다.


  3. 삼불거(三不去)

      칠거지악(七去之惡)이 공자가어(孔子家語)에 나오는 것을 보면, 孔子님께서  말씀하신 것으로 인식(認識)되어 자연히 전통적(傳統的) 유교이념( 儒敎理念)으로 자리를 잡았다. 그러나 대대례(大戴禮) 본명편(本命篇)에 다음 세가지의 경우에는  삼불거(三不去 = 三不出)라 하여  아내(婦人)를 내쳐서는 안된다고 하였다.  出處에 따라 用語가 조금씩 다르다.

       (1). 유소취무소귀불거<有所取無所歸不去 = 사고무친(四顧無親)>-- 아내를 내쳐도 돌아갈 친정이 없을 때

       (2).여공갱삼년상불거(與共更三年喪不去) ---- 父母(媤父母)의 三年喪을 남편과 같이 치렀을 때

       (3).전빈천후부귀불거<前貧賤後富貴不去 =  조강치처(糟糠之妻)> -- 어려운 집안에 시집와서 가세(家勢)

                                                                                                를 일으켜 세웠을 때.

                    <* 빈천지교불가망(貧賤之交不可忘)  조강지처불하당(糟糠之妻不下堂)" 이란 말도 있음>.

                   (가난할 때 사귄 친구를 잊어서는 아니되고, 어러울 때 만난 아내는 내쳐서는 아니된다) 

@ 七去之惡은 全的으로 女子에게 不利한 制度요 관습(慣習)이었지만, 그래도 三不去를 언급(言及)한 것은 가족

     제도(家族制度)의 根本이 되는 부부관계(夫婦關係)의 중요성(重要性)을 일정부분(一定部分) 인정(認定)한 것

     이라 하겠다.  <끝>


# 女子의 시샘, 질투(嫉妬)를  " 투기(妬忌) " 라 하고,   

   男子의 시샘, 질투(嫉妬)를 " 모기(媢忌)" 라 한다.      *媢(투기할  모.  강샘할 모)    

  嫉(시기할  질)  = 女(계집  여)  + 病(병들  병)   :  女子의 病.           

  妬(질투할  투) = 女(계집  여) +  石(돌  석)       :  女子가 시샘해서 돌팔매질 하는 것. 

   ** 질(嫉), 투(妬), 모(媢) 字에 왜  계집녀(女)  字가 들어가 있을까?  옛날 중국 사람들은 질투(嫉妬)를 여

      자의 전유물(專有物)로 생각하고  女子를 비하(卑下)해서 만든 글자(?)가 아닐까요?  

@ 공자가어(孔子家語 : 冊名) -- 위(魏)나라 왕숙(王肅)이 孔子의 言行과,  孔子와 門人들과의 논의(論議)를

                                         수록해 놓은 책.

 @ 대대례(大戴禮) : 冊 -- 중국 전한(前漢)의 대덕(戴德)이라는 學者가 孔子의 72弟子의 예설(禮說)을 모아

                                  엮은 책.  禮記 214편을 85편으로 정리(整理)한 것인데 39편만 전해오고 있다. <끝> 


  @  伸(펼   신).   張(베풀  장)   騰 (오를  등).   若(같을  약)    霜(서리  상)    親(친할  친)   舊(옛  구)

  淫(음란할   음)   亂(어지러울 란).    雜(섞일  잡)     談(말씀  담)      從(쫓을   종).      離(떠날  이)

  繼(이을 계)      責(꾸짖을  책).      務(힘쓸  무)       舅(시아비   구)    姑(시어미  고)   妬(질투할  투) 

  忌(꺼릴  기)   嫉(시기할   질).  媢(투기할  모. 성낼  모)  戴(머리에 일  대.  모실  대)   殯(가난할 빈)

       賤(천할  천)   竊(훔칠  절)     盜 (도둑  도)     顧(되돌아볼  고)    糟(술지게미 조)  糠(겨  강) 

        媢(투기할  모.  성낼  모)  卑(낮을  비)  魏(나라이름  위). 肅(엄숙할  숙)   整(가지런히 할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