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어사 박문수 야담 4편(우받세/도경)

오토산 2015. 3. 8. 01:35

 

 

 

어사 박문수 야담 (4편) 


 

암행 어사  박문수(1691~1756)가

거지 꼴로 여기저기 돌아다니며

 민정을 살피고  탐관 오리들을  벌 주던 때였다.

 

하루는 날이 저물어서 주막에 들었는데,

 봉놋방에 턱 들어가 보니

 웬 거지가 큰 대자로 퍼지르고 누워 있었다.

사람이 들어와도 본 체 만 체,

밥상이 들어와도 그대로 누워 있었다.

 

“거, 댁은 저녁 밥을 드셨수?”

 “아, 돈이 있어야 밥을 사 먹지.”
그래서 밥을 한 상 더 시켜다 주었다.

  

 그 이튿날 아침에도 밥을 한 상 

 더 시켜다주니까  

거지가 먹고  나서 말을 꺼냈다. 

 

 “보아하니 댁도 거지고 나도거진데, 

 이럴게 아니라 같이 다니면서 빌어먹는 게 어떻소?” 

 

박문수도 영락없는 거지꼴이니  

그런 말 할만도 하다. 

그래서 그 날부터 둘이 같이 다녔다. 

 

 에피소드  1.  

세 사람 살려주고 사례로 받은 백 냥 


제법 큰 동네로 들어서니 마침 소나기가 막 쏟아졌다.
그러자 거지는 박문수를 데리고 
 

그 동네에서 제일 큰 기왓집으로 썩 들어갔다.

그러더니 다짜고짜 한다는 말이
 

 “지금 이 댁 식구 세 사람 목숨이 

 위태롭게 됐으니 잔말 말고 

 나 시키는 대로만 하시오.
지금 당장 마당에 멍석 깔고
 

 머리 풀고 곡을 하시오.”

 

안 그러면 세 사람이 죽는다고 하니 

 시키는 대로 했다.


그 때 이 집 남편은 머슴 둘을 데리고 

 뒷산에 나무 베러 가 있었다. 


 어머니가 나이 아흔이라  

미리 관목이나 장만해 놓으려고 간 것이다. 

 나무를 베는데 갑자기 소나기가 오자 

 비를 피한다고 큰 바위 

 밑에 들어갔다.


그 때 저 아래서  ‘아이고 아이고’ 

  곡소리가 들려왔다.
“이크, 우리 어머니가 돌아가셨나 보다.

 

 얘들아, 어서 내려가자.”

머슴 둘을 데리고 부리나케 내려오는데 

 뒤에서 바위가 쿵 하고 

 무너져 내렸다.

간발의 차이로 위험을 모면하고 내려온 남편은
 

 전후 사정을 듣고  

 거지한데 절을 열두 번도 더 했다.

“우리 세 사람 목숨을 살려 주셨으니
 

 무엇으로 보답하면 좋겠소?
"내 재산을 다 달란대도 내놓으리다.”
“아, 정 그러면 돈 백 냥만 주구려.”

그래서 돈 백 냥을 받았다.

 

받아서는 대뜸 박문수를 주는 게 아닌가.
“이거 잘 간수해 두오.
 

 앞으로 쓸데가 있을 테니.”

 

박문수가 가만히 보니  

이 거지가 예사 사람이 아니었다.
시키는 대로 돈 백 냥을 받아서 
 

속주머니에 잘 넣어 두었다. 

 

 에피소드 2. 

   칠 대독자 구해주고 사례로 받은 백 냥 


며칠 지나서 어떤 마을에 가게 됐다.
그 동네  큰 기와집에서 온 식구가 울고 불고 난리가 났다.
 

거지가 박문수를 데리고 그 집으로 쑥 들어갔다.

“이 댁에 무슨 일이 있기에 이리 슬피 우시오?”
“우리 집에 7 대 독자 귀한 아들이 있는데,
 

이 아이가 병이 들어 다 죽어가니 어찌 안 울겠소?” 

“어디 내가 한 번 봅시다.”

 

그러더니 병 든 아이가 누워 있는 곳은 

 거들떠보지도 않고 , 

 곧장 사랑채로 들어가선 주인에게 말했다. 

“아이 손목에 실을 매어 가지고 

 그 끄트머리를 가져오시오.” 

미덥지 않았으나 주인은 아이 손목에다  

실을 매어 가지고 왔다. 

 

거지가 실 끄트머리를 한 번 만져 보더니 

 “뭐 별것도 아니구나. 

 거 바람벽에서 흙을 한줌 떼어 오시오.” 

 

바람벽에 붙은 흙을 한줌 떼어다주니 

 동글동글하게 환약 세개를 지었다. 

 주인이 약을 받아 아이한테 먹이니 

 다 죽어가던 아이가 말짱해졌다. 

 

주인이 그만 감복을 해서 

 절을 열두 번도 더 했다. 

 “ 7 대독자 귀한 아들 목숨을 살려 주셨으니 

 내 재산을  다 달란대도 드리리다.” 

 

 “아, 그런 건 필요 없고 돈 백 냥만 주구려.” 

이렇게 해서 또 백 냥을 받아 가지고는  

다시 박문수를 주었다.

 

“잘 간수해 두오. 앞으로 쓸데가 있을 거요.” 

 

에피소드 3.  

묘자리 봐주고 사례로 받은 백 냥

 

며칠 가다가 보니  

큰 산 밑에 사람들이 많이 모여 있었다. 

웬 행세 깨나 하는 집에서 

 장사 지내는 것 같았다.

 

 기웃기웃 구경하고 다니더니 

 마침 하관을 끝내고 봉분을 짓는데 가서 

“에이, 거 송장도 없는 무덤에다 무슨 짓을 해 ?” 

 하고 마구 소리를 쳤다.

 

일하던 사람들이 들어보니 기가 막혔다. 

“네 이놈, 그게 무슨 방정맞은 소리냐? 

 이 무덤 속에 송장이 있으면 어떡할 테냐?” 

“아, 그럼 내 목을 베시오.

 

 그렇지만 내 말이 맞으면 돈 백냥을 내놓으시오.” 

일꾼들이 달려들어 무덤을 파헤쳐 보니, 

 참 귀신이 곡할 노릇으로 

 과연  방금 묻은 관이  사라지고  없었다. 


“내가 그걸 찾아 주려고 온 사람이오. 

 염려 말고 북쪽으로 아홉 자 아홉 치 

 떨어진 곳을 파보시오.”

 

그 곳을 파 보니,아닌게 아니라 

 거기에 관이 턱 묻혀 있었다.

 

“여기가 명당은 천하 명당인데 

 도둑혈이라서 그렇소. 

지금 묻혀 있는 곳에  

무덤을 쓰면 복 받을 거요.”

 

이렇게 해서 무사히 장사를 지내고 나니, 

 상주들이 고맙다고  

절을 열두 번도 더 했다.

 

“ 명당 자리를   보아 주셨으니 

 우리 재산을 다 달란대도  내놓겠습니다.” 

 

“아, 그런 건 필요 없으니  돈 백 냥만 주구려.” 

그래서 또 돈 백냥을 받았다. 

 받아 가지고는 또 박문수를 주었다.

 

“이것도 잘 간수해 두오. 반드시 쓸데가 있을 거요.” 

 

 

  에피소드 4.  백일 정성 끝에 마련된 삼백 냥

 

그리고 나서 또 가는데, 

 거기는 산중이라서 한참을 가도 

 사람 사는 마을이 없었다.  

그런 산중에서 갑자기 거지가 말을 꺼냈다.

 

“자, 이제 우리는 여기서 그만 

 헤어져야 되겠소.” 

 

“아, 이 산중에서 헤어지면 

 나는 어떡하란 말이오?”

 

“염려 말고 이 길로 쭉 올라가시오. 

 가다가 보면 사람을 만나게 될 거요.”

 

 그러고는 연기같이 사라졌다. 

 

꼬불꼬불한 고갯길을 한참 동안 올라가니 

 고갯마루에 장승 하나가  떡 버티고 서 있었다.  

그 앞에서 웬 처녀가

 물을 한 그릇 떠다놓고 빌고 있었다.

 

“장승님 장승님, 영험하신 장승님. 

 우리 아버지 백일 정성도 

 오늘이 마지막입니다.

 

 한시 바삐 제 아버지를 살려 줍시오. 

비나이다   비나이다. ” 

 

박문수가 무슨 일로 이렇게 

 비느냐고 물어보니... 

처녀가 울면서 말했다. 

 

“우리 아버지가  

관청에서 일하는 아전이온데, 

나랏돈 삼백 냥을 잃어버렸습니다. 

 내일까지 돈 삼백 냥을  

관청에 갖다 바치지 않으면 

 아버지 목을 벤다는데, 돈을 구할 길이 없어 

 여기서 백일 정성을 드리는 중입니다.” 

 

박문수는 거지가 마련해 준 돈 

 삼백냥이 떠올랐다.

 

 반드시 쓸데가 있으리라 하더니 

 이를 두고 한 말이로구나 생각했다.

 

돈 삼백 냥을 꺼내어 

 처녀한테 건네 주었다. 

“자, 아무 염려 말고 이것으로 

 아버지 목숨을 구하시오.”

 

이렇게 해서 억울한 목숨을 구하게 됐다.  

그런데 그 처녀가 빌던 장승이 

 비록 나무로 만든 것이지마는 

가만히 살펴보니  

어디서 많이 본 얼굴이었다.

 

아까까지 같이 다니던

그 거지 얼굴을  

쏙 빼다 박은 게 아닌가! 



........................................................................


* 박 문 수 

조선 후기의 실존 인물인 어사로 활동했던
조정의 인물 박문수의
행장기 중 한 이야기입니다.
 
작가는 여러가지 설이 있지요
박문수 이야기의 특징은
 크게 두 부류입니다.

박문수가 동에 번쩍 서에 번쩍
 갑자기 나타자 탐관오리를 혼내준다거나
 상당히 현실적으로 짜여진 이야기
 
이렇게 두 가지가 있는 이 작품은
 현실적인 면이 상당히 강합니다.
당시 조선시대의 백성의 마음
그리고 민속적 그리고 당시 서민생활의
 한면을 볼수 있는 이 작품들
정말 휼륭한 재미와 가치를 가지고 있는
 작품이라고 생각됩니다.
-옮긴글- 道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