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비와 산중미녀(우받세/한빛) 하단에 표시하기를 클릭 하세요. 선비와 산중의 미녀 옛날에 시골 마을에 어떤 선비 하나가 살고 있었다. 글을 많이 읽어 삼강오륜 인의예지를 다 익혔으되, 살기가 무척 어려웠다. 벼슬을 못하여 녹을 받지 못하는데다, 배운 게 글 읽는 일뿐이라. 농사든 장사든 아무것도 못하니 살림이 .. 고사성어 2013.07.30
김삿갓의 웃음과 해학(우받세) 김삿갓의 웃음과 해학 이런 사람에게는 명동에서 30여년간 사채업을 해온 분이 다음과 같이 털어놓았습니다. ▲이런 사람에겐 돈 빌려 줘도 좋다 1. 밥 한끼 얻어먹은 걸 결코 잊지 않는 사람. 2. 물건을 사고 영수증을 받아 꼭 살펴보는 사람. 3. 쓸데없이 굽실거리지 않는 사람. 4. 아침에 .. 고사성어 2013.07.09
백운암 호혈석 스님을 사모한 처녀 경남 양산 통도사 금강계단 전경 ♤스님을 사모한 처녀♤ 언제인지 분명치 않지만 통도사에서 가장 높은 산내암자 백운암에 홍안의 젊은 스님이 홀로 경학을 공부하고 있었다. 장차 훌륭한 강백이 되기를 서원한 이 스님은 아침 저녁 예불을 통해 자신의 염원을 부처.. 고사성어 2013.06.18
간비십격 간비십격(奸婢十格) 한 선비가 여종과 더불어 자주 밀통(密通)하여 왔는데, 아내에게 한번 발각된 이후로는 사사건건 들통이 났다. 그래서 한 벗에게 상의했다. "여종과 놀아나는게 재미치고는 별미인데 매양 아내에게 발각되니 무슨 수가 없겠는가 ?" "내게 묘법(妙法)이 있으니 그대로 .. 고사성어 2013.06.07
스님을 사모한 처녀 표시하기 클릭 사모한 처녀 표시하기 클릭 경남 양산 통도사 금강계단 전경 ♤스님을 사모한 처녀♤ 언제인지 분명치 않지만 통도사에서 가장 높은 산내암자 백운암 에 홍안의 젊은 스님이 홀로 경학을 공부하고 있었다. 장차 훌륭한 강백이 되기를 서원한 이 스님은 아침 저녁 예불을 .. 고사성어 2013.05.29
달마의 눈꺼풀은 어디로갔을까? 달마의 눈꺼풀은 어디로 갔을까? 눈에 대한 긍정적 시각 - 조소진 그림 제공 포털아트 ◎ 달마의 눈꺼풀은 어디로 갔을까? 어느 날 동네에 아주 큰 감자탕집이 생겼습니다. 입구로 들어서면 계산대 뒤에 걸린 커다란 달마도가 가장 먼저 눈에 띕니다. 초기에는 손님이 많아 저녁에는 앉을 .. 고사성어 2013.05.17
어두일미이야기 51-1 어두일미(魚頭一味) 이야기 ‘마누라 쫓아내고 먹는’ 도미 머리 맛 유명… ‘어두일미’ 어원으로... 어두일미(魚頭一味)란 말이 있다. 생선은 대가리가 가장 맛있다는 뜻이다. 생선 중에서도 도미의 머리 부위가 특별히 맛있기 때문에 생겨난 말이라고 한다. 조선 정조 때 사신으로 .. 고사성어 2013.05.13
경신구사 표시하기 클릭 癸巳年 德談- 2 ♧ 경신구사(敬身九思) ♧ 소학에 나오는 말로 군자가 행동에 앞서서 깊이 생각해야할 아홉가지 조목을 말한다. 視思明(시사명) 사물이나 현상을 보거나 인식할 때는 명확하게 보아야 할 것을 생각해야 하며 聽思聰(청사총) 남의 말이나 세상사를 들을 적에.. 고사성어 2013.05.08
복수불반분 복수불반분(覆水不返盆) 글자 그대로 한번 업질러진 물은 다시 그릇에 담을 수 없다는 뜻으로 세상 사람이 다 알고 있는 사실이지만 이 말의 어원을 보면 참 재미 있습니다. 주(周)나라의 무왕(武王)을 도와 은(殷)의 주왕을 몰아 내는데 큰공을 세워 나중에 齊(제)나라의 왕이 된 강태공(.. 고사성어 2013.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