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교실 323

선비들의 영원한 이별의 글

● 불원재 유교문화 해설(142) 【선비들의 영원한 이별의 글】 이 세상의 모든 존재는 영원함이 없다, 그러나 자연의 운행은 영원하다 이를 일러 도(道)라고 한다. 자연의 운행은 원형이정(元亨利貞)으로 영원히 순환하여 시작이 있으면 반드시 끝남이 있게 된다. 끝남이 또 다른 시작이요 시작이 곧 끝남인 것이 도인 것이다. 한민족의 전통경전인 천부경(天符經)에 우주가 시작 되었지만 이 우주가 처음이 아니다, 우주가 끝나지만 이 우주가 끝남이 아니다(一始无始一, 一終无終一)라고 하였으니 자연의 운행은 영원하다는 말이 된다. 사람이 태어나면 언젠가는 반드시 죽게 되는 것이 진리이기 때문에 인생 무상(無常)이라 하는 것이다. 사람은 태어나서 일생동안 많은 사람과 만나고 인연을 맺으면서 살다가 세상을 떠나면서 가족..

인문교실 2024.03.12

2024(甲辰)년 청룡(靑龍)이 여의주를 얻다

불원재 유교문화 해설(136) 【2024(甲辰)년 청룡(靑龍)이 여의주를 얻다】 ‘세월이 유수 같다’는 말은 ‘한 해 한 달’이라는 세월(歲月) 즉 시간의 운행이, 흐르는 물과 같이 끝이 없다는 말이다. 시간이란 우주공간에서 음양의 변화가 진행되어 감을 말하며 시간의 변화를 여러 가지 진법(進法) 주기로 표현한다. 하루 밤과 낮의 변화는 2진법, 1일을 12시진법/24시진법, 1주일은 7일, 1후(候)는 5일, 1절기(節氣)는 15일, 1 달은 2절기/30일, 1계(季)는 3월/90일, 1년은 4계절/12월/ 72후/365일로 시간을 다양하게 구분한다. 인생 60진법이란 말이 있다. 사람은 이 세상에 태어나서 다양한 시간 질서 가운데 60주기(週期)라는 시간의 흐름 속에 살아 간다는 말이다. 60진법은 ..

인문교실 2024.01.03

양반과 상놈

● 불원재 유교문화 해설 (127) 【양반과 상놈】 안동은 양반지향(兩班指向)의 고을이다. 조선시대 왕권사회에서는 사람의 신분이 구분되어 있었다. 군주와 가장 가까이 있으면서 사회 지배계층에 있던 상류층의 문무(文武)의 관료를 양반(兩班)이라 했다. 일반 백성들도 직업에 따라 신분이 달랐다. 중앙과 지방의 관청에서 일을 맡아 하던 직업을 중인(中人)으로 아전(衙前)이라 하였고, 일반 농.상.어업에 종사하던 백성들은 상민(常民)이라 하고, 천한 직종에 종사하던 사람과 노비계급에 있던 사람들을 천민(賤民)이라 하였다. 그래서 사람은 누구나 지배층의 양반이 되기를 바랐으나 중인이나 상민층에서 양반계층으로 신분상승은 대단히 어려웠다. 왕가의 후손이나 양반의 후예로서 학문을 닦아 과거에 급제해야 관료로 진출하고 ..

인문교실 2023.09.27

상량문과 상량제 강의를 다녀와서

상량문과 상량제 강의를 다녀와서 1910년 한일병합조약의 공포로 경술국치를 격었던 8월 29일 도촌송어회식당에서 점심을 먹고 예당카페에서 차 한 잔을 나누고 16:00 여름방학을 마치고 처음으로 시작하는 사)전례문화보존회의 '상량문(上樑文)과 상량제(上樑祭)' 시민강좌를 다녀왔다. 남시화 회장님의 인사와 강사소개에 이어 정재구 강사사님은 건축을 하거나 교량이나 서커스탑의 건설시에 행하여지는 의식으로 새로 짓거나 고친 집의 내력, 공력일시 등을 적은 상량문(上樑文)을 길한 날 길한 시에 마룻대(종도리)를 올리며 제사(上樑祭)를 지냈으며 짧은 상량문으로 안방쪽에서 건넌방쪽으로 종서(從書)로 붓글씨로 쓴 상량대의 글씨를 묵서명(墨書銘)이라 하였다고 한다. 긴 상량문의 형식은 건축을 하게된 연유와 공사추진 과정..

인문교실 2023.08.29

묘지(墓誌)와 묘지명(墓誌銘) 강의를 다녀와서

묘지(墓誌)와 묘지명(墓誌銘) 강의를 다녀와서 1904년 대한매일신보(서울신문)이 창간되었던 7월 18일 16:00 사)전례문화보존회에서 진행하는 시민강좌로 '묘지(墓誌)와 묘지명(墓誌銘) '에 대한 강의가 있었다. 남시화 회장님은 강사소개를 하시며 지상에 설치되어 있는 묘비나 묘갈명은 흔히 볼 수 있으나 무덤 속의 묘지(墓誌)와 묘지명(墓誌銘)은 보기가 힘들며 어디에서도 들어볼 수 없는 강의를 준비하였으니 열심히 들어 달라며 정재구 강사님을 소개하였다. 정재구 강사님은 우리의 장례문화가 급격하게 변화되어 가고 있으나 선인들의 묘지나 묘지명을 한번 읽어 보면서 만약 우리가 나의 묘지명을 쓴다며 어떻게 쓰여질까 생각하여 보자며 통덕랑 정석귀 선생의 묘지명을 읽으며 강의를 시작하였다. 묘지(墓誌)는 죽은사람..

인문교실 2023.07.18

서명(西銘)의 불괴옥루(不愧屋漏)

● 불원재 유교문화 해설 (118) 【서명(西銘)의 불괴옥루(不愧屋漏)】 서명은 중국 북송시대의 유학자 장재(張載, 1020~1077)의 대표적 논설이며, 그의 자는 자후(子厚), 봉상 미현의 횡거진(橫渠鎭) 출신으로 횡거선생(橫渠先生)이라 하고 존칭하여 장자(張子)라고 불리며 문묘(文廟)에 모셔진 송조육현(宋朝六賢)의 한 분이다.. 장재는 공부방(書齋)의 동쪽과 서쪽에 잠명(箴銘)을 붙여 놓고, 동쪽의 동명(東銘)에는 ‘우둔함을 바로잡는다’는 ‘폄우’(貶愚)라 하고, 서쪽의 서명(西銘)에는 ‘어리석음을 물리친다’는 ‘정완’(訂頑)이라 하였다. 《서명》은 "천지만물"과 "나"라는 존재와의 일체에서 얻어지는 "인(仁)"이라는 주제의 글로서 전체 253자의 글자에 담긴 내용은 앞 부분은 “사람이 천지의 아들..

인문교실 2023.07.12

자연의 소중함과 인간의 존귀함, 수명우천 기수영창(受命于天 旣壽永昌)

● 불원재 유교문화 해설 (119) 【자연의 소중함과 인간의 존귀함, 수명우천 기수영창(受命于天 旣壽永昌)】 ○ 퇴계선생은 1547(丁未)년 팔월 홍문관 응교로 소명을 받았다. 서울에 올라가서 “가을에 소명을 받은 뒤 부임하며 (秋赴召後)”지은 시이다. 이 시에는 초나라 변화(卞和)가 임금에게 박옥(璞玉)을 바쳤으나 오히려 쓸모없는 돌멩이를 옥이라고 속인죄로 두 번이나 발꿈치를 베이는 형을 당하였다. 그 후에 세 번째로 문왕이 세공인에게 명하여 그 원석을 다듬게 하니 천하에 둘도 없는 ‘화씨의 벽(璧)’이라는 보옥이 되었고 변화는 양릉후(陽陵侯)에 봉해졌다고 한다. 그 후 이 화씨벽이 조나라에서 진나라로 건너가 천하를 통일한 진시왕의 옥새로 만들어져 이사의 전자로 ‘수명우천 기수영창(受命于天 旣壽永昌)’..

인문교실 2023.07.07

안동문화원에서 '선비의 삶' 강의를 다녀와서

안동문화원에서 '선비의 삶' 강의를 다녀와서 세계남민의 날인 6월 20일 14:00 안동문화원 집례자과정에서 권오신 강사님의 '선비의 삶'에 강의가 있어서 문화원을 찾았더니 문화공원에는 '반려동물배변봉투함'이 있었고 강의실 입구 1층에는 안동지명의 유래 '고창전투'에 대한 홍보와 세상에서 가장 뭉클한 울엄마이야기 '엄마까투리'도 볼 수 있었다. 선비 사(士)자는 작은도끼 모양에서 유래되었고 고대에는 무관(武官)을 뜻 하였다며 시작한 강의는 학식은 있으나 벼슬하지 않은 사람(處士), 학문을 닦는 사람(儒學者), 학식 있고 예의바르고 관직과 재물을 탐내지 않는 사라(참선비)' 품성이 얌전하고 현실에 어두운 사람(꽁생원) 등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쓰여졌다고 한다. 선비란 명칭의 유래는 중국 서주(西周)시대 태..

인문교실 2023.06.21

안동문화원 '선비의 여행정신'강의를 다녀와서

안동문화원 '선비의 여행정신'강의를 다녀와서 1945년 독일의 패배로 2차세계대전이 끝난 5월 2일 14:00 안동문화원 선비아카데미(집례자과정)에서 한국국학진흥원 임노직 수석연구위원을 모시고 '선비의 여행정신'에 대한 강의가 있었다. 임노직 강사님은 소수서원에 개시된 학구성현(學求聖賢 : 성현을 따라 학문을 구한다)을 설명하며 선비는 성인이 되는 것을 지향하고 詩를 통하여 흥기(興氣)하며 살았으며 선비의 정신세계는 군자가 자리하고 사군자(梅,蘭,菊,竹)와 함께 하였다. 여행이란 유(遊)의 세계로 예술활동, 복음.전도활동, 투어, 고행, 레저, 소풍, 체험학습 등 다양한 의미로 표현되고 있다고 하고 주역의 풍지관(風地觀)괘를 인용하여 위에서 아래로 넓게 골고루 살펴보면서 잘 살아가라는 의미로 옛 선비들은..

인문교실 2023.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