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현종사(낙여) 5현종사(五賢從祀) [한국역사문화연구원장] 도통이란 도학(道學)의 학통을 의미한다. 좁은 의미로 말한다면 주돈이(周敦頤)-장재(張載)-정호(程顥)-정이(程頤)- 주희(朱熹)로 이어지는 송대의 주자학통을 의미한다. 이러한 주자학은 원 지배 당시 고려에 전파되었다. 그 후 주자학은.. 인문교실 2018.01.26
학해부(낙여) 學海賦(학해부) [鶴峰 金誠一] 貓余生之淟涊은 보잘 것 없는 내 삶 비천하고 더러움은 貓 : 작을묘. 淟 : 때낄전. 涊 : 땀날년. 類坎蝸之守陋라 달팽이 제 껍데기 지키는 것과 같네. 空聞海而蹢蹢하며 괜히 바다 넓다는 말만 듣고 주저하며 蹢 : 머뭇거릴척... 인문교실 2018.01.12
제사란(이면동) 제사란 무엇인가? 동암 류장원 선생의 상변통고 중 제례 총론에서 무릇 제사는 사랑과 공경으로 정성을 다하는 것을 위주로 할 따름이다. 가난하면 집 안의 형편에 알맞게 하고, 병이 있으면 힘을 헤아려서 행한다. 재물과 힘이 미치는 자는 각자 의식대로 함이 마땅하다. 〈제통(祭統)〉:.. 인문교실 2017.12.18
안동사람들이 가야할 길(내고향/일천) 안동사람들이 가야할 길 사람은 어려운 환경에 처해도 바르게 살아가려고 애를 쓰는 사람이 있는가하면, 조금만 자기 뜻에 맞지 않으면 보통사람으로서는 상상도 하지 못할 나쁜 짓을 서슴없이 자행하고, 또 이러한 현상들이 차츰차츰 불어난다는데 사회적 문제가 있고, 교육을 담당한 .. 인문교실 2017.10.18
퇴계선생의 예견 퇴계선생의 예견 우리나라는 임진왜란(壬辰倭亂) 때에 아무런 걱정 없이 있다가 일본에게 무참히 짓밟혔지만 일부 학자들은 위정자들이 너무나 태평하게 나라를 다스리는 모습을 두고 걱정을 하였던 것이나, 모두 지나쳐버렸기 때문에 가혹한 벌을 받은 것이다. 성호(星湖) 이익(李瀷) .. 인문교실 2017.10.09
구미의 지주중류비 (낙여) 지주중류비(砥柱中流碑.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67호) 이 비석은 조선 선조(宣祖) 20년(1587)에 양청천(楊晴川)의 글씨를 한강 정구(寒岡 鄭逑 1543∼1620)가 탁본하여 길재의 묘소가 있는 구미의 오태동에 인동현감(仁同縣監) 류운룡(柳雲龍)이 1587년 ( 冶隱)야은 길재(吉再, 1353∼1419)의 높은 .. 인문교실 2017.09.28
비문,묘지명,묘비문,묘갈명,묘표란?(낙여) 碑文, 墓誌銘, 墓碑文, 墓碣文, 墓表 [비문] [묘지명] [묘비명] [묘갈명] [묘표] 비문(碑文) 유협이 이르기를, “비(碑)란 돋운다[埤]는 뜻이다. 상고(上古) 시대에 제황(帝皇) 이 처음으로 호(號)를 기록하고 봉선(封禪)을 할 때에 돌을 세워 산악 위에 도드라 지게 하였으므로 비라고 한 것.. 인문교실 2017.09.24
군자지교 담여수, 소인지교 감략례(낙여 김규석) 군자지교 담여수, 소인지교 감략례"(莊子) 번역보기"君子之交 澹(淡)如水, 小人之交 感若醴"(壯者) ["군자지교 담여수, 소인지교 감략례"(장자)]. "군자의 사귐은 담수(맹물)와 같고, 소인의 사귐은 단술과 같다"는 똣이다. 저는 전혀 군자도 못 되면서 싱거운 내 성격을 위의 고사성어로 .. 인문교실 2017.07.14
喪杖은 왜 필요한가?(내고향/일천) 喪杖은 일반적으로 알기는 男喪에는 대나무 女喪에는 버드나무를 쓰는 것으로 생각하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지 잘 모르고 있다. 禮記의 喪服 小記에 보면 苴(雎)杖 竹也 削杖 桐也 竹杖 圓以象天 削杖 方以象地 父母之別也 저장은 대나무고 삭장은 오동이라, 대나무 지팡이는 둥근 것.. 인문교실 2017.06.13
개과천선의 뜻과 유래(우받세/최나팔) *개과천선(改過遷善)뜻과 유래(由來)* 우리사회에는'개과천선을 하여 바르게 산다' 라는 말을 많이 듣게 되는데요, 개과천선(改過遷善) 뜻은 무었인지그리고 그 유래(由來)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 개과천선(改過遷善)의 뜻은 허물을 고쳐 새롭게 한다는 말로, 스스로 잘못을 뉘우치고 마.. 인문교실 2017.04.16